하우스 낚시를 하는데 내림 입질이 들어옵니다.
- 채비: 스위벨 채비(스위벨 0.3그램)
- 찌맞춘: 한목 노출 후 쇠링을 추가 하여 딸깍 맞춤
- 원줄: 1호, 기둥 및 바늘 목줄: 당줄2호
- 바늘 4호(군계일학 판매제품)
이러한 채비로 하우스 낚시를 하였지만, 대부분 내림이 입질이 들어옵니다. 쇠링을 추가 하거나 찌 목수를 더 내놓고 낚시를 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물로 챔질 시기도 잡기 힘들고요. 미끼도 비중이 놓은 것을 사용해도 그러네요
편대채비로 바꾸어도 같은 입질이 들어옵니다.
자주 오시는 분들의 말에 따르면, 긴목줄을 사용해야 올림 입질을 볼수 있다고 하더라구요(개인적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선배님들 이때는 어떻게 해야 되나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하우스붕어가 이상한것이지.. 채비의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차라리 원봉돌 체비로 약간 무겁게 해보세요
붕어주둥이 노후화, 바닥상태 등도 필요.
그래야, 정확한 것은 아니더라도, 대략적인 진단이 가능합니다.
하우스 낚시에서 찌올림과 마릿수는 정비례 한다고 생각하심 될듯 물론 안그런 곳도 있겠지만 마릿수 손맛은 내림,중통 찌맛은 긴목줄 요래 생각하심 거의 맞으실 거에요 ㅋ
하우스 고기상태는 썩 좋지 않아고요
바닥은 깨끗한편이며
2목노출에 기둥목줄 15센티, 바늘목줄 5센키로 낚시했습니다
아랫스위벨 무게를 올려보시던가 아니면 윗봉돌에 오링좀 추가해보시길 바랍니다.
스위벨 무게를 올려서 사용해본후 후기 다시 올리겠습니다
붕어 활성도가 낮을때는 그럴수 있습니다~
배웠읍니다
무겁게 맞추고 목줄길게 부양탄써보세요 ㅎ
조언해 주신데로 낚시 후기 올리겠습니다
1, 가볍다 2붕어입이 기형이다
바닦낚시에서 빨면 오링 추가하면 됩니다
그때 스위벨에서 빨림 현상을 목격을 하고 그 이유를 찾았었습니다.
원봉돌은 붕어가 미끼를 물고 살며시 가거나 고개를 휙틀어도 원봉돌의 무게가 있고 찌가 고부력인지라 찍히는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수온기 저부력찌를 사용하고 특히 스위벨 같은 아주 무게가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붕어가 미끼를 물고 턴을 하거나 빠르게 움직이면 스위벨이 봉돌로서의 제 역할을 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찌가 찍히는 현상을 보여주곤합니다. 스위벨에서 찌가 이쁘게 올라가는 것을 촬영해서 자세히 보면 이쁘게 올라가는 찌도 아주 미세하지만 일시적으로 찍히는 현상 이후에 찌가 올라가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작은 아랫부분의 스위벨이 너무나 무게가 적을 것을 사용함과 동시에 붕어의 활성도가 높을때 종종 찍히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붕어가 초기에 당기는 힘이 마치 내림찌처럼 그대로 전달이 되어 초기에 찍히는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 오링을 추가하라고 하시는데 통상 오링을 추가하실때 본봉돌에 오링을 추가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본봉돌이 아닌 아래 스위벨의 무게를 높여주시는 것이 훨씬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붕어의 활성도에 비례하도록 조금 더 고부력찌를 사용하신다면 조금이나마 그런 현상을 줄이실 수 있습니다.
저도 오링을 본봉돌에 추가하고 추가하고 추가해봤지만 소용이 없었고, 너무 가볍게 맞추었나 싶었지만 그렇지도 않았고 봉돌이 가라 앉는 자리에 경사가 있나 싶었지만 상관이 없었으며 여러 실험과 논의를 통해서 그 이유를 추론해봤고 해결을 봤던 경험이 있습니다.
지금은 더이상 하우스나 양어장에 가지 않지만 한때 경험을 토대로 글을 올려봅니다. 참고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