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빨찌.에 대해 궁금합니다.

IP : f46953ee7cd144b 날짜 : 조회 : 9046 본문+댓글추천 : 0

지난 겨울 나루예 명화2 라는 찌를 하나 샀습니다. 가격은 호호호~ http://www.fishvalley.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6726 수심 2.5m 정도 되는 손맛터에서 두번 사용했습니다. 채비는 월줄 : 1.0 모노 목줄 : 0.6pe 합사 및 당줄 채비 : 스위벨, 사슬채비 2호 찌맞춤 : 찌톱 1마디까지 맞춘 후 O링 이용 캐미꽂이 딸깍 바늘 : 4 ~ 5호 무미늘 떡밥 : 글루텐 단품 낚시 : 캐미꽂이 한마디 노출 중간에 O링 추가, 찌목수 더 내어놓고, 글루텐 물성 변화 주고...여러 변화 시도 결과 : 올리는 입질 : 빨리는 입질 = 3 : 7 바닥낚시용 찌라고 생각하고 구입해서 썼는데.. 빨찌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네요.. 혹시 빨찌가 중통채비나 옥내림처럼 내려가는 입질을 보는 찌인가요? 찌고무 홀더를 1cm 정도로 벌린 채로 했는데, 찌가 왜 내려갈까요.. 빨찌는 찌 자체로 내려가는 입질을 보는 것인지, 아님 중통채비처럼 봉돌이나 채비를 변형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자저울로 재보니까 찌 무게와 부력치가 거의 차이가 안 나는 것 같은데.. 단순히 순부력값이 낮은 찌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바닥낚시에서 사용하면 찌올림을 보기 힘든 찌인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 도와주이소~~
빨찌에 대해 궁금합니다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1등! IP : c90fbeba03b8091
그냥 오링 하나 더 걸고 하세요.

너무 예민하게 마추면 대류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하우스야 물밑과 수면의 온도 차이가 별로 없지만 손맛터는 차이가 좀 많이 날겁니다.

그럴때는 약간 무거운 채비가 더 좋습니다.

빨찌는 채비가 따로 있습니다.

하우스냐 노지에서 잉어를 잡을거냐에 따라 채비가 다르지만 일반 올림채비랑은 다른 것입니다.

빨찌는 주로 저부력 장찌를 그렇게 부릅니다.

찌 자체가 빨리는 입질을 잘보여 주는게 아니라 빨찌 채비가 저부력 장찌가 유리해서 그렇게 부릅니다.
추천 0

2등! IP : 173adabf34cf38e
먼저 하우스낚시는 애들이 학습이되어 침맞은 놈들이 대부분이어서
입질이 미약합니다.
빨낚시는 최대한 예민한찌를 만들어 원줄을 긴장하게
만들어줘야 예신을 읽을 수 있고 본입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원줄의 호수와도 관계가 있고 재질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제가다니는곳은 대상어종이 붕어(600g미만), 잉붕어(800g미만), 잉어(2000g미만)인
탕(대형어종인 경우 제외)에서
경기낚시를 해보면 원줄(모노줄)은 동계에 0.8 하계엔1.7까지
쓰고있고 목줄(모노줄)은 0.4~1.2까지 쓰고 있습니다.
카본줄을 원줄로 사용할경우는 찌가 안착되고 긴장도를 주더라도
나중에는 카본원줄무게로 2목정도 찌가 더 잠기게 됩니다.
빨낚시(중통,외통,내림채비로하는 도봉낚시)는 찌의 무게중심이 몸통 아래쪽에 있고
봉돌이 유동되게하여 앵커역활을 하게하는것이 다른낚시와 많이 차이나는점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채비는 중통으로 쓰고있고 원줄이 쉽게 통과되도록 봉돌구멍이 최대한 큰걸로
사용하고있고 목줄길이는 짧은줄30~15 긴줄45~22cm로 여름과 활성도가 좋을때는 짧게
반대일땐 길게 사용합니다.
도래는 제일작은 18호 회전도래를 쓰고있고요



빨찌는 부상력(복원력)이 좋으면 좋을수록 좋습니다.
그만큼 원줄,목줄을 펴 준다는 얘기이고 사선낚시의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낚시대제한범위 밖으로도 먹이를 덕질 수 있어 경기낚시에 많이 쓰이기도 하죠
예를들어 19척,3.2칸 범위라면 사선낚시(빨채비)를 하게되면 3.6칸~4.0칸정도의
거리로 낚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수심과는 반비례합니다.
수심이 깊을때는 찌를 장찌(80cm)로 제작하여 좀더 멀리 던질 수 있게도 제작하고요

이때 찌의 푼수를 결정합니다. 찌다리,찌톱의 무게를 감안해서 가능한한 내림찌 타입으로
잘빨리게끔 제작하고 재질역시 순부력이 제일좋은 압축스치로폼으로 합니다.
될수있으면 몸통은 작게,슬림하게하는것이 최적의 빨찌 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순부력이 좋게하려면 몸통은 굵고크게 찌다리,찌톱은 가장가늘게하면 되지만
이건 올림낚시의 찌가 될수 밖에 없는겁니다. 찌는 우리가 물속상황을 볼 수 있는 전부이기때문에
신중히 선택하셔야 합니다. '낚여야 낚시가 즐겁다' 즐낚하세요
추천 0

3등! IP : 173adabf34cf38e
전에 올렸던글을 복사해서 일부수정하니 질문의 요지에 벗어나 추가로 견해를 작성합니다.

혹시 빨찌가 중통채비나 옥내림처럼 내려가는 입질을 보는 찌인가요? ---아닙니다 떡밥용 저부력찌(양어장용)

찌고무 홀더를 1cm 정도로 벌린 채로 했는데, 찌가 왜 내려갈까요 ---양어장고기의 학습된 먹이활동입니다

빨찌는 찌 자체로 내려가는 입질을 보는 것인지, 아님 중통채비처럼 봉돌이나 채비를 변형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위에서 언급

전자저울로 재보니까 찌 무게와 부력치가 거의 차이가 안 나는 것 같은데..
단순히 순부력값이 낮은 찌인지 ----찌몸통에비해 찌톱무게 찌다리무게를 감안하면 순부력이 낮아지는건 당연하지요
어리버리용 으로 사용하면 좋겠네요.

아니면 일반적인 바닥낚시에서 사용하면 찌올림을 보기 힘든 찌인지 궁금합니다.---노지에서는 붕어면 숙 올라갈겁니다.
추천 0

IP : f46953ee7cd144b
자세하고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결국 바닥낚시용 찌라고 크게 가정하고, 이를 믿고 낚시하면 되겠네요.
결국 낚시터가 하자였네요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