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 카본3,4호줄에 6호찌 스위벨 5호 당줄대신 카본사 2.5호 단차 12cm정도 목줄 10센치
부력은 캐미 꼽고 캐미 절반 정도 보이게 맞추었습니다
한번 붕어 입질 처럼 왔는데 스위벨 봉돌과 본봉돌과의 라인 휨 현상이 있엇던것 같습니다
입질 형태는 반에 반마디도 아니게 스무스하게 두번 정도 솟기를 두어번 갑자기 한마디 쭉 빨리고 마는 입질 이었습니다 그루 입질은 없었습니다 스위벨과 본봉돌 라인의 휨과 벨런스 때문에 이런 현상이 있었던것 같은데요
질문
카본사가아닌 당줄을 꼭 사용해야 하는지와
본봉돌 무게를 줄이고 스위벨을 늘리면 되는 것인지요?
6호 솔리드탑을 스위벨5호가 찌탑 몇마디를 잠기게하나요?? 바람불고 추와서 대충해서 스위벨5호가 몇마디 내리는지 확인도 안해부럿네용
선배님들 알려주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빨리는 입질이 가끔 나타나기도 하지만 정상적인 붕어 입질은 대부분 올림 입질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당줄대신 카본사를 쓰셨다면 더더욱 휨 현상이 나타나지 말아야 하지 않나요?
제 생각에는 전체적으로 채비구성이 무겁게 맞춰졌거나 아니면 본봉돌과 스위벨 간의 무게 발란스가 맞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
좀 귀찮으실지는 몰라도 이상적인 채비는 본봉돌을 달고 찌맞춤을 했을때 찌탑이 다 드러나야하며 이후 찌탑의 무게를
스위벨이 눌러줘야지만 본봉돌과 스위벨사이의 줄이 휘지않고 정직하게 올라옵니다.
키포인트는 본봉돌만 달았을때 찌탑이 모두 드러나거나 오히려 더 가벼워져 찌 몸통의 일부가 드러나도 상관없습니다.
위 경우가 아닌경우 스위벨이 너무 가볍거나 본봉돌만의 찌맞춤으로 찌탑의 일부만 노출되어진경우 안정적인 입질표현이 안되고
봉돌간 원줄이 휘는 현상이 발생할수있습니다.
찌탑드러난 본봉돌에 스위벨달고 찌맞춤했을때 너무 무거운감이 있다면 스위벨 호수를 줄이지않고 본봉돌을 더 깍아 찌맞춤을 해보시기바랍니다~~
[신고하기]
우선 바늘 달고 맞춤인지와 낚시할때 찌탑을 몇마디 노출하셨는지, 아님 캐미고무가 물에 닫게 하셨는지가 없네요.
또한 스위벨 5호라고만 나오지 어디 제품인지도 없네요...
원래 예전부터 나오는 스위벨과 일학이나 성동에서 나오는 스위벨 홋수는 정반대고 각각 무게가 틀립니다.
선배님들 감사합니다..
스위벨 6호로 올리고 좁갈 가감 한번 해보아야겟네요
현장 찌맞춤할떄 케미 달고 무바늘채비로 케미 끝이 수면과 일치하는 수평밎춤 하시구요...
투척후 찌가 서면 앞으로 땡겼다 밀어 주는 방식으로 수직 입수되도록 신경 쓰시구요...
요즈음 나오는 성동스위벨은 0.5호~6호 까지 생산되구요...
성동 0.5호가 일학 1호와 비슷하고...
성동 6호가 일학 5호와 비슷합니다...^^
그 이상의 호수는 판매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새해복 많이들 받으세요
결과는 외봉돌하나로 돌아왔네요
너무 무거운 봉돌도 그렇다고 너무 가벼운 봉돌도 아니고
6호정도의 봉돌과 30ㅡ35센치 정도의 찌를 쓰는것이 젤루 편안한 낚시라고 저는 생각이드네요^^
자력상승저항을 줄이는것이 분납인데
애초에 저부력찌를 사용함이 나을듯 합니다
겨울낚시 시원한 입질 잘 안하던데요
스위벨 4~6호, 당줄 2~3호 쓰고
17대~52대 채비했습니다.
모두 케미꽂이 끝 수조 찌맞춤한 후
☞☞☞ 카본원줄을 각 칸수 적정 길이 만큼 잘라서
핀클립에 달고 같은 수조에 넣어보니
찌가 모두 수조통 끝낀지 잠겨버리네요.
원줄 무게가 생각보다 무겁군요.
스위벨을 들어보니 당줄이 휘구요.
찌가 상승하는 속도도 느리구요.
스위벨 무게보다 가벼운 원줄은 없는 것 같은데,
모노줄을 써야 될지 고민입니다.
대형 수로에서 낚시하면서 입질이 미약한 관계로...
저수온기 채비를 사용합니다...
그나마 입질 받으면 반마디에서 한마디 정도 올려줍니다...
- 낚시대 28~36대
- 원줄 모노1~1.2호
- 목줄 모노 0.6~0.8호/당줄2호
- 스위벨 2~3호
- 찌 4~7푼
- 바늘 4~5호
12월 물대포 설치된 손맛터에 사용해서 환성적인 조황을 본 채비는...
4푼찌, 1호스위벨, 무미늘 4호바늘...
스위벨채비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2단 입수가 되었을때 잘못된 채비라고 판단하는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캐미가 처음 투척했을때 고대로 있다면 본봉돌이 바닦에 닿은겁니다
원줄은 카본사, 모노필라멘트 2가지로 크게 사용되어지는데,
개인적으로 스위벨 0.30g~0.80g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즉 2분할시 윗봉돌과 아랫봉돌(스위벨)
카본줄 사용시 3호가 넘어가면 원줄의 침력으로 위의 분할의 장점을 잃어버릴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침력을 줄이고자 카본 2호정도를 선택하는 것이며,
모노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찌맞춤은 카본사 사용시는 모노줄에 비해 원줄의 침력이 더 많이 생기므로 무겁게 즉 케미 약간 노출 정도로
맞춤후 당일 날씨 상황 즉 겉바람에 의한 원줄 밀림현상, 바닥에서의 대류 등을 파악하여
조절링을 가감하여 귀찮겠지만 어차피 즐길거라면 당일 채비의 최적상태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당일 사용할 찌의 부력(g,푼..)을 알고 분할시 아랫봉돌(스위벨)을 선택해야
보다더 즐거운 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실제 낚시시에는 바늘부터 찌까지만 침력으로 작용하고 찌부터 초리실까지는 침력으로 작용하지 않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수조찌 맞춤후 현장에 가셔서 현장찌 맞춤 확인후 낚시하시는게 좋을것 같읍니다.
전 36대 이하는 본봉돌 3호 스위벨 1호 원졸 카본 3호 본봉돌과 스위벨 목줄 카본 3호 입니다
찌맞춤은 찌탑에 캐미 꽃고 수조통에 찌탑과 캐미 꽃는 고무 선까지 맞춤니다
바늘 빼구요 전 지금까지 이케 쭉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해서 올해 진도 쪽 낚시에서 대박과 마리수 원없이 하고 있습니다 ^^
중층.내림 채비에 모노줄을 사용하듯이 스위벨 채비라고 해서 꼭 당줄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케블라.모노.합사 . 세미등 모두 사용해도 됩니다.
꼭찌맞춤은 현장짜맞춤하실껄 강력히추천합니다
수심 3미터권 2.3부터 4.0대 까지 총 8대편성 서너 마디 올릴시 챔질했더니 헛챔질이ㅇㅕ러번 나오더군요 한마디 올려놓구 시작했는데 2마디로 올린뒤 찌 밑둥 까지 올려 놓더군요 ㅋ 함박눈이 펑펑 내리던 새벽 4시의 시간에도 결국 찌를 세울수없을정도로 눈이 살얼음 처럼 가득하여 어쩔수 없이 철수 했지만요
본봉돌 달고 찌몸통 스웨벨 달고 찌톱 ^^
물론 수초는 풍덩 이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