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스위벨 호수

IP : 3bf71d23549c5c3 날짜 : 조회 : 7121 본문+댓글추천 : 0

1. 세미플로팅 4호줄(원줄)에 스위벨 몇호를 써야 적당한지가 궁금합니다. 2. 제가 전통바닥채비 36칸대 수축고무 상단(원봉돌위치)에 원줄길이를 해야 앞치기 하는데 편한데 이번에 스위벨로 몇대만 교체해볼려고 합니다.똑같이 원봉돌이 수축고무상단에 위치해서 줄매면 되는 건가여..??

1등! IP : 8abe7751e4dc45e
스위벨 채비시 일단 1차목줄과 2차목줄길이가 늘어난만큼 더 짧게 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편하게 던지실려면 길이 마춰서 원줄길이 짧게 가져가셔야 하구요..
찌부력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4호원줄 정도면 5호나 6호 0.6~1.0g 정도의 스위벨 쓰시면 되겠네요..
스위벨 호수가 커질수록 안정감이 있다고 하네요..
현재 전 스위벨 5호에 찌부력 6호봉돌인찌 쓰고 있어요..모노라인 3호줄내지 2호줄쓰고 있구요..
추천 0

2등! IP : 1304d00cdd836e8
스위벨채비를 해도 원래 쓰시던 길이로 해도 무방합니다.
원줄이 짧으면 앞치기가 조금 더 쉽습니다.
형제꾼님 말씀처럼 스위벨 호수는 5~6호
호수가작으면 찌가 많이 흔들려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추천 0

3등! IP : 096e6604c279781
스위벨 홋수를 결정하는것은
원줄의 굵기가 아니고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에 따라 달라집니다.

좀더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사용하는 찌의 찌탑만을 물속에 가라 앉힐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가장 적당합니다.

또한, 낚시대의 길이에 따라 봉돌의 무게가 달라져야 합니다
원칙은 없지만, 경험에 의한 대략적인 수치를 말씀드리자면...

0.8대 ~ 1.5대 : 1.5g ~2g
1.5대 ~ 2.5대 : 2g ~ 3g
2.6대 ~ 3.0대 : 3g ~ 3.5g
3.2대 ~ 3.6대 : 3.5g ~ 4.5g
3.6대 ~ 4.4대 : 4.5g ~6g

이정도 됩니다.

스위벨의 홋수는 각 낚시대에 사용하는 찌의 찌탑만을 가라앉힐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선택하시면 되고
원줄 4호를 쓰신다고 했는데, 원줄의 굵기가 굵어지면 대류나 유속, 바람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모노 2.0 이상은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이 원줄로 최대 80Cm 잉어까지 랜딩하는데
아무런 지장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원줄의 굵기를 다시 한번 고려 해 보심이 어떨지요

봉돌을 스위벨채비로 교체했을때라도 1차봉돌을 잡고 투척하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원줄 길이가 길어서 투척이 제대로 잘 안된다면 당연히 짧게 줄이셔야 하구요
특히 떡밥낚시일 경우라면, 하룻밤에도 수없이 많이 투척해야 하니까
정확하고 편안하게 투척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정하시는 것이 당연합니다.

원줄이 너무 길어서 던질때마다 다른 곳에 던진다면 집어효과도 나지 않을 뿐더러
피곤하고 힘든 낚시가 될겁니다.
추천 0

IP : e2e7fdaaaa81bb0
36대 스위벨 6호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주 예민하게 하실려면 5호 추천합니다.
추천 0

IP : 28244e144d8c2a3
스위벨의 홋수 지정은 검색해보심 나오겠지만 대체적은 봉돌무게의 15~20%정도가 가장 무난합니다.
5호봉돌이 4.2그램이라 치면 0.63~0.84그램짜리니까 5호내지 6호의 스위벨이면 됩니다.
스위벨이 작으면 채비의 효과를 보기 어렵구여 헛챔질등이 자주 일어납니다.

낚시대의 봉돌홋수와 원줄길이는 정답이 없습니다.
낚시대 마다 탄성이 틀리기 때문에 봉돌 및 원줄길이는 현장에서 투척하시면서 조절하시면 됩니다.
원줄은 길어봐여 이득될게 없구 짧아서 손해볼게 없습니다.
추천 0

IP : dec22d2a0e715da
스위벨 호수는 당연히 사용하는 찌의 찌탑 전부 이상을 감당할 무게여야 합니다~ 기본적인 거고요~

원줄(낚시대)의 길이와 상관이 있다는건 원줄의 무게,

즉 찌부터 초릿대까지 처지게 되는 원줄의 무게 때문에 스위벨이 가벼운면 끌여 옵니다.

더불어 대류, 유속, 바람 등의 환경적인 요인도 원줄이 길수록 더 영향을 받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원줄의 두께 역시 영향을 받습니다~

두께가 두껍다는건 그만큼 무겁고, 표면적이 넓어 대류, 유속, 바람등의 환경적인 요인에도 더 많이 영향을 받습니다.

결론적으로,

세미플로팅 4호 정도라면 안정감을 해서라도 저라면 적어도 군계 스위벨 5호 이상 쓰겠습니다~

낚시대 원줄의 길이는 본인 스타일대로 하시는게 답일진데...

이 역시 보유한 낚시대 스타일이나 캐스팅 능력 정도에 따라 달라지겠는데요...

제 경우 비교적 경질 낚시대를 사용하면서...

32대의 경우 손잡이(수축고무) 상단 정도에 맞추고, 위아래 칸수는 조금씩 가감합니다.

그렇다고 아랫칸수 원줄길이 너무 길게 하면 대물 다대편성에서는 캐스팅시 다른대들과 엉킬 수 있으니 적당히 하시고요~

40대는 손잡이대 절반 조금 위 정도에... 44대는 손잡이대 위로 3분의 2지점 정도에 합니다.

스위벨 채비라면 낚시대 원줄 자체는 스위벨 채비 길이 만큼 더 짧아져야 하는게 당연하겠고요~

저 역시 낚시대 원줄은 취산님 말씀처럼 짧아서 손해 볼게 없다 생각합니다~

줄 묶고 현장에서 좀 길다 싶으시면 10cm정도씩 단계적으로 짧게 해서 채비해 보세요

원줄 길게 묶어 캐스팅 한다고 낚시 잘하는게 아닐겁니다^^

내가 원하는 곳에 잘 캐스팅 하고, 그래서 좋은 조과 올리고, 다른 낚시대와 원줄 엉키지 않게 하고,

수초대에서 줄 길면 꺼내기도 힘들고, 잡은 고기 놓치기 일쑤입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