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콘님이 질문하신 채비는 오래전에 예민한 채비법으로 많이들 시도했던 채비 입니다..
봉돌이 뜨는 영점채비죠.....
단점은 유속이 조금이라도 발생하면 채비가 이동하는 단점이 있고
고기들의 몸짓만으로도 찌가 움찔 거리는 겁니다.
장점은 동절기나 초봄 바닥채비로 예신조차 감지 못하는 미약한 입질시에
어느정도 입질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 채비는 후에 xx일학 사장님이 이른바 "목줄의 사각" 이론을 얘기 하기 시작하며
자취를 감추기 시작한 채비 인걸로 압니다.
아주 오래전 분명히 낚시이론으로 회자 되던 채비 인것은 맞습니다.
요즘은 차라리 얼레벌레,내림등으로 맞추므로 더이상 사용치 않는걸로 압니다.
다음분께 패수~
청도 유등연지에서 외바늘에 글루텐으로
준척급 마릿수로 손맛보시는분이 계셨는데..
그분의 채비가 봉돌은 떠 있고 바늘만 바닥에
안착을 시킨 채비더군요..
그리고 제가 아는 덕곡지 5짜하신분도
외바늘 바닥채비에 봉돌은 떠 있는 채비를 쓰십니다..
다른점은 목줄의 길이가 5짜하신분이
더 길게 쓰신다는거죠..
연밭 또는 수초밀집지역에서는
충분히 재미있는 낚시가 되리라 봅니다..
찌맞춤은 찌가 서서 내려와 케미가 노출되게 하고
수심체크 하실때 1목정도 나오게 수심 잡으시고
다시..바늘 달고 목줄 길이만큼 찌를 내리시면
바늘만 바닥에 닿는 상태가 됩니다..
스위벨 등 타채비와의 단순비교는
개인의 기술이나 능력등의 차이가 있기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질문 비교 찌마춤이 무엇인지 모르겟네요
케미를
꽂으면 조금 내려 갑니다
그리고 바늘의 미끼를 달고 찌톱 한목 나오게 수심을 맙춤니다
그러면 봉돌은 떠있고 바늘은 바닦에 닿는정도가 됩니다 이게 영점 아닌가요?
봉돌이 뜨는 영점채비죠.....
단점은 유속이 조금이라도 발생하면 채비가 이동하는 단점이 있고
고기들의 몸짓만으로도 찌가 움찔 거리는 겁니다.
장점은 동절기나 초봄 바닥채비로 예신조차 감지 못하는 미약한 입질시에
어느정도 입질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 채비는 후에 xx일학 사장님이 이른바 "목줄의 사각" 이론을 얘기 하기 시작하며
자취를 감추기 시작한 채비 인걸로 압니다.
아주 오래전 분명히 낚시이론으로 회자 되던 채비 인것은 맞습니다.
요즘은 차라리 얼레벌레,내림등으로 맞추므로 더이상 사용치 않는걸로 압니다.
내림채비 아닙니다 찌 올여줍니다
이채비에서 조금 업그레이드한게 분납 채비였습니다
분납채비
목줄 바늘에서 3분의1지점에(목줄중간도 관계없음) 좁살봉돌 물여서
지금하신대로수평 찌 맞춤해보세요
봉돌 물리지 안을때보다 두세마디 더올여줍니다
수조에 채비를 바닥에 대이고 바늘에 줄을 묶고 살짝살짝 들어보세요
전채비와 분할좀쌀채비랑 비교 해보세요
찌올림이 확연이 다릅니다
꼭! 꼭!테스트해보세요
현장에서 찌는 한마디이상 나오게 해서 하세요
예민하게맞추다보면 떡밥이 녹으면서 바늘이 뜰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