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을 어찌하셨다는 언급은 없으시나...
막연히 채비가 떠 있거나, 미끼(바늘)만 바닥을 겨우 짚고 있을 것 같다는 상상이....
그리되면, 봉돌이나 분납이 정확히 바닥을 짚고 있을 때와는 달리
찌놀림이 명쾌하지 않고, 확실 챔질 타이밍 또한 모호해서 헛챔질을 하는 경우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사슬스타일이 분납의 일부가 되는 경우라면, 사슬의 끝이 아니라 사슬의 일부가 바닥으로 적당히 내려앉은 상태로 계획 하시는 게
현장오차(채비가 떠올라서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게 하는 것)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가볍고, 무겁다는 사람의 생각일 뿐이지.
물고기 입장에서는 가볍다, 무겁다가 아닌,
(미끼를)먹기 쉬운가(좋은가, 편한가, 내가 좋아하는 건가)이런 것이 훨씬 더 앞서는 척도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붕어는 작은 미끼를 선호하며, 작은 바늘에 작은 미끼를 끼운 것이 빠른 입질을 받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끼가 작다는 것은 먹기 편하다는 것이고, 한번 흡입으로 입안으로 쏙 들어갈 수 있기에 깔끔하고, 명징한 입질을 받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투여되는 떡밥류로 인해 낚시터 바닥이 썩어, 시궁창 내가 진동하는 곳에서 낚시를 한다면,
그 자리에 내린 미끼도 먹고 싶은 욕구가 덜할 수 있겠죠.
먹이 활동 뿐만이 아니라 바닥에 딱 붙어서 유영하는 것조차도 기피할 수도...
그런 곳에서 중층낚시 같은 아예 미끼를 수중에 띄워서 고기를 유혹하는 낚시법이 바닥에 미끼를 내리는 기법보다 조과가 좋다는 것은
웬만한 사람들은 다들 인정하는 이야기이죠.
냉정히 생각해 보면, 가볍고, 무거운 채비에 대한 생각과 기준은 사람의 생각일 뿐입니다.
(명확한 메카니즘의 이해가 없이)지나치게 가벼운 채비에 몰빵하다보면,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 봉착하기 매우 쉽습니다.
(그런 상황이 되면, 과연 내가 생각한 대로 채비가 운용되고 있기나 한건지 의구심이 들 때가 많죠.)
보통의 바닥 채비는 땅에 착륙해 있던 기구에 매달린 모래주머니들을 내려놓으면 자연스럽게 중력 반대 방향으로 솟아 오르는 운동을 합니다만.
지나치게 적은 저부력 바닥채비는, 바닥에 떨어져 있던 낙엽이나 깃털이 다시 하늘로 날아 오르는 것처럼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채비는 '찌VS봉돌'뿐만이 아닌, '찌VS원줄~바늘(미끼)에 이르는 모든 채비부속'의 조합이기 때문에
찌부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연약한 유치원생이 줄다리기 시합용 굵은 밧줄을 잡아 끌 듯, 찌가 원줄을 끌어올리는 것 조차 힘겨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되면, 붕어의 움직임을 즉각즉각 섬세히 표현해줘야 하는 찌가 깔끔하고 명징한 움직임을 보일 수 없겠죠.
물고기 잘 잡은 데에 대한 급소는 채비의 무게가 최우선 변수가 아닐 수 있습니다.
제가 선생님의 채비와 비슷한 스타일의 채비를 통해,
노지 현장에서 (찌부력 4g정도)에 봉돌의 무게 가감을 통해, 미끼만 바닥에 내리기도 하고,
사슬부위의 중간쯤을 바닥을 짚도록 내려서 낚시를 하기도 하고 메카니즘을 변환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전자와 후자와의 찌놀림 메카니즘은 거의 정반대이다 싶을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며,
챔질타이밍과 찌놀림도 극과 극입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찌 끝이 살짝 꿈틀거리고만 있는 상황이 챔질을 해야 하는 타이밍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제 조행영상 중에 찌올림이 1cm도 되지 않고 꿈틀거리고만 있는 상황에서 챔질했는 데, 5짜가 다되는 붕어가 잡혀 나옵니다. "ㅇㅇ님 궁금한게 있는데요. 찌올림도 없는 데 어찌 챔질하신건가요?"이런 질문이 들어오기도.. 물론, 질문자 께서는 보통의 바닥채비의 입질표현이라고 생각하셨을테니....)
바늘(미끼)만 바닥을 짚는 경우, 찌놀림을 통해 붕어의 물속 움직임을 정확히 읽어내기가 쉽지가 않고, 헛챔질 확률 또한 그만큼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의 경우를 확실히 알고 있고, 지극히 의도한 채비이기도 하고, 꽤 나 오랜 기간동안 사용해서 쌓아온 경험치가 있기 때문에 낚시하는 데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봉돌을 띄우고 바늘만 바닥을 짚는 낚시를 하면, 조과가 엄청 좋아지지 않냐?'는 바닥채비와 그런 차이 1도 없구요.
현장 상황하고 궁합이 맞지 않으면 오히려 낚시가 엉망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 다 바닥에 미끼를 내려놓은 것은 똑같습니다.(붕어 입장에서 바닥에 있는 미끼를 먹는 것은 똑같다는 뜻...)
다만, 찌놀림 양상만 달라지는 것 뿐이죠.
낚시인들의 흔히들 하는 생각들을 보면,
꼭 물속의 붕어가 이 정도는 하는 것처럼 상상하는 경우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붕어가 물속에서 "봉돌을 저울로 재보고 아..이건 2.0g을 초과 했으니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이 원줄은 몇호를 초과 했으니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 이 채비는 ㅇㅇ채비가 아니네?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 이 채비는 찌맞춤을 조금 이상하게 했네. 실격!!"
정말로 이럴까요?
쓰다보니 말이 너무 길어 졌네요.
고작 물고기를 상대로 너무 과도한 생각은 좋은 낚시를 망칠 수 있습니다.
기본에 집중하시고, 그 남은 여유는 편안한 시간을 보내시는 데 투자하셔서, 물가에 가면 항상 힐링이 되는 낚시가 되시길 바랍니다.
사슬무게가 찌부력에 비해서 많이 먹는것 같습니다.
찌를 3g정도로 써보시고 바늘목줄길이도 다양하게 해보세요
바늘크기도 한몫합니다.
그리고 손맛터이신거 같은대
손맛터 특성상 주둥이가 없는 붕어도 있고 치어도 많습니다.
찌맞춤은 바늘빼고 딸깍이면 찌탑 한목만 내놓으면 최종봉돌은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낚시중 봉돌이 떠있다는느낌은 대류나 밥사선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채비 형태는 문제가 없나요?
헛챔질 3번
입질을 자주 받는 상황이 아니 어서 바로 사슬채비로 변환 했습니다.
원하는 찌 놀림에 후킹 했습니다.
기존 사슬채비는 이 시기에 좋은 찌표현이 있었습니다.
이채비를 한목적은 느긋한 찌놀림을 보기 위해서 시도했습니다.
요즘 조구사에서 비슷한 채비 형태 채비로 자작을 해서 테스트 차원에서 손맛터에 나갔습니다.
채비 자체는 지적이 없네요!
문제가 없다면 다음에 활성도가 좋을때 다시 테스트 하겠습니다.
이형태의 채비는 지적 사항이 없을까요?
지적 바랍니다.
목줄을 짧게(5~7cm)하시고 수심 측정(즉 봉 돌이 바닥에설짝닿게하시면헛챔질없을겁니다)
찌 를 올려서 찌맞춤을다시하시고요..찌가수면에얼마나노출되어있는지는모르겠습니다만...노출된 것보다 조금(반 마디~한마디)더 수면에나오게하시고낙시하시면 헛챔질없을겁니다....목줄은 합사 로 하시고요.(캐부라 1.5~2호)아마찌맞춤잘하시면 2단 입수 도 될 것 같네요.
어찌 됐건 간에 낚시대 를 떡밥 달고 던졌으때 찌가 찌맞춤했을때보다 반마디나 한마디정도 더노출되야한다는점 꼭잊지말아주시기바랍니다.
막연히 채비가 떠 있거나, 미끼(바늘)만 바닥을 겨우 짚고 있을 것 같다는 상상이....
그리되면, 봉돌이나 분납이 정확히 바닥을 짚고 있을 때와는 달리
찌놀림이 명쾌하지 않고, 확실 챔질 타이밍 또한 모호해서 헛챔질을 하는 경우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사슬스타일이 분납의 일부가 되는 경우라면, 사슬의 끝이 아니라 사슬의 일부가 바닥으로 적당히 내려앉은 상태로 계획 하시는 게
현장오차(채비가 떠올라서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게 하는 것)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가볍고, 무겁다는 사람의 생각일 뿐이지.
물고기 입장에서는 가볍다, 무겁다가 아닌,
(미끼를)먹기 쉬운가(좋은가, 편한가, 내가 좋아하는 건가)이런 것이 훨씬 더 앞서는 척도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붕어는 작은 미끼를 선호하며, 작은 바늘에 작은 미끼를 끼운 것이 빠른 입질을 받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끼가 작다는 것은 먹기 편하다는 것이고, 한번 흡입으로 입안으로 쏙 들어갈 수 있기에 깔끔하고, 명징한 입질을 받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투여되는 떡밥류로 인해 낚시터 바닥이 썩어, 시궁창 내가 진동하는 곳에서 낚시를 한다면,
그 자리에 내린 미끼도 먹고 싶은 욕구가 덜할 수 있겠죠.
먹이 활동 뿐만이 아니라 바닥에 딱 붙어서 유영하는 것조차도 기피할 수도...
그런 곳에서 중층낚시 같은 아예 미끼를 수중에 띄워서 고기를 유혹하는 낚시법이 바닥에 미끼를 내리는 기법보다 조과가 좋다는 것은
웬만한 사람들은 다들 인정하는 이야기이죠.
냉정히 생각해 보면, 가볍고, 무거운 채비에 대한 생각과 기준은 사람의 생각일 뿐입니다.
(명확한 메카니즘의 이해가 없이)지나치게 가벼운 채비에 몰빵하다보면,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 봉착하기 매우 쉽습니다.
(그런 상황이 되면, 과연 내가 생각한 대로 채비가 운용되고 있기나 한건지 의구심이 들 때가 많죠.)
보통의 바닥 채비는 땅에 착륙해 있던 기구에 매달린 모래주머니들을 내려놓으면 자연스럽게 중력 반대 방향으로 솟아 오르는 운동을 합니다만.
지나치게 적은 저부력 바닥채비는, 바닥에 떨어져 있던 낙엽이나 깃털이 다시 하늘로 날아 오르는 것처럼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채비는 '찌VS봉돌'뿐만이 아닌, '찌VS원줄~바늘(미끼)에 이르는 모든 채비부속'의 조합이기 때문에
찌부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연약한 유치원생이 줄다리기 시합용 굵은 밧줄을 잡아 끌 듯, 찌가 원줄을 끌어올리는 것 조차 힘겨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되면, 붕어의 움직임을 즉각즉각 섬세히 표현해줘야 하는 찌가 깔끔하고 명징한 움직임을 보일 수 없겠죠.
물고기 잘 잡은 데에 대한 급소는 채비의 무게가 최우선 변수가 아닐 수 있습니다.
제가 선생님의 채비와 비슷한 스타일의 채비를 통해,
노지 현장에서 (찌부력 4g정도)에 봉돌의 무게 가감을 통해, 미끼만 바닥에 내리기도 하고,
사슬부위의 중간쯤을 바닥을 짚도록 내려서 낚시를 하기도 하고 메카니즘을 변환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전자와 후자와의 찌놀림 메카니즘은 거의 정반대이다 싶을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며,
챔질타이밍과 찌놀림도 극과 극입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찌 끝이 살짝 꿈틀거리고만 있는 상황이 챔질을 해야 하는 타이밍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제 조행영상 중에 찌올림이 1cm도 되지 않고 꿈틀거리고만 있는 상황에서 챔질했는 데, 5짜가 다되는 붕어가 잡혀 나옵니다. "ㅇㅇ님 궁금한게 있는데요. 찌올림도 없는 데 어찌 챔질하신건가요?"이런 질문이 들어오기도.. 물론, 질문자 께서는 보통의 바닥채비의 입질표현이라고 생각하셨을테니....)
바늘(미끼)만 바닥을 짚는 경우, 찌놀림을 통해 붕어의 물속 움직임을 정확히 읽어내기가 쉽지가 않고, 헛챔질 확률 또한 그만큼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의 경우를 확실히 알고 있고, 지극히 의도한 채비이기도 하고, 꽤 나 오랜 기간동안 사용해서 쌓아온 경험치가 있기 때문에 낚시하는 데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봉돌을 띄우고 바늘만 바닥을 짚는 낚시를 하면, 조과가 엄청 좋아지지 않냐?'는 바닥채비와 그런 차이 1도 없구요.
현장 상황하고 궁합이 맞지 않으면 오히려 낚시가 엉망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 다 바닥에 미끼를 내려놓은 것은 똑같습니다.(붕어 입장에서 바닥에 있는 미끼를 먹는 것은 똑같다는 뜻...)
다만, 찌놀림 양상만 달라지는 것 뿐이죠.
낚시인들의 흔히들 하는 생각들을 보면,
꼭 물속의 붕어가 이 정도는 하는 것처럼 상상하는 경우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붕어가 물속에서 "봉돌을 저울로 재보고 아..이건 2.0g을 초과 했으니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이 원줄은 몇호를 초과 했으니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 이 채비는 ㅇㅇ채비가 아니네? 실격!!"
붕어가 물속에서 "아 이 채비는 찌맞춤을 조금 이상하게 했네. 실격!!"
정말로 이럴까요?
쓰다보니 말이 너무 길어 졌네요.
고작 물고기를 상대로 너무 과도한 생각은 좋은 낚시를 망칠 수 있습니다.
기본에 집중하시고, 그 남은 여유는 편안한 시간을 보내시는 데 투자하셔서, 물가에 가면 항상 힐링이 되는 낚시가 되시길 바랍니다.
.모노 1.2호원줄 찌는 2g 바늘없이 딸깍 맞춤후 일목반 노출
0.6호 모노줄 바늘 5호입니다.
딸깍맞춤으로 헛챔질이면
사용하는 채비가 예민한 채비이니 정확한 채비로 바꾸는 방법으로
찌맞춤을 한목 더 무겁게 맞추고 테스트 해보시면 답이 나올듯.
찌를 3g정도로 써보시고 바늘목줄길이도 다양하게 해보세요
바늘크기도 한몫합니다.
그리고 손맛터이신거 같은대
손맛터 특성상 주둥이가 없는 붕어도 있고 치어도 많습니다.
찌맞춤은 바늘빼고 딸깍이면 찌탑 한목만 내놓으면 최종봉돌은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낚시중 봉돌이 떠있다는느낌은 대류나 밥사선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분활채비 비슷하며, 바늘을 입에 넣었다 뺏었다를 하면 바로 찌에 바로 반응이 아닌 사슬을 거치고, 형상와이어를 거치면서 채비부속품간에 유격등이 있으니 미끼가 입에 있늘때보다는 뺏어낼때 찌가 반응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확실히 붕어가 입에 바늘과 미끼가 있는 순간에 떠오르거나 옆으로 이동하면 찌는 동동거리거나 끌려가는 표현이 나타날 것입니다.
채비의 적웅과정이 끝나면, 찌의 놀림만 보고도 챔질수간을 잡우실 것압니다.
채비도..
받침틀도
만들어 쓰네여ㅡ.,ㅡ
찌 잘올려 줍니다
그때 그때 입질보고 채비도
달라져야 합니다
(저는 공구류등
들고 다녀요
그때그때 만들어 씁니다)
오링추가하면 대부분 해결이 됩니다.
헛챔질 3번
입질을 자주 받는 상황이 아니 어서 바로 사슬채비로 변환 했습니다.
원하는 찌 놀림에 후킹 했습니다.
기존 사슬채비는 이 시기에 좋은 찌표현이 있었습니다.
이채비를 한목적은 느긋한 찌놀림을 보기 위해서 시도했습니다.
요즘 조구사에서 비슷한 채비 형태 채비로 자작을 해서 테스트 차원에서 손맛터에 나갔습니다.
채비 자체는 지적이 없네요!
문제가 없다면 다음에 활성도가 좋을때 다시 테스트 하겠습니다.
이형태의 채비는 지적 사항이 없을까요?
지적 바랍니다.
안되나,
쓰시는 찌.
잘안다고 판단하고 계십니까?
저도 찌하나 2년정도 써봐야
제대로 찌판단이 섭니다
4계절 ..사이에 간절기들
저수온기로 갈수록 둔해지고..
지적질 할것도 없습니다
터마다 활성도 틀리고,
옆에서 보고 판단할 문제지
그림한장으로
정답을 원하시니
강태공 이라도 힘들듯 하네요
저도 자작채비 현장서 만들어 쓰는
이유도
그때 그때 바로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이미 완성된 채비로
맞추어 가긴 힘들다 이말입니다
다만 2년이상 그찌 사용해보시고
채비도 익었다면 대충 그림은
그려질듯 하구요
찌 를 올려서 찌맞춤을다시하시고요..찌가수면에얼마나노출되어있는지는모르겠습니다만...노출된 것보다 조금(반 마디~한마디)더 수면에나오게하시고낙시하시면 헛챔질없을겁니다....목줄은 합사 로 하시고요.(캐부라 1.5~2호)아마찌맞춤잘하시면 2단 입수 도 될 것 같네요.
어찌 됐건 간에 낚시대 를 떡밥 달고 던졌으때 찌가 찌맞춤했을때보다 반마디나 한마디정도 더노출되야한다는점 꼭잊지말아주시기바랍니다.
즐낚하시기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