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태가 생기는 원인은 뭐 때문일까요? 1ㅣ청태가 없던 저수지에 어느해는 청태가 심하게 끼는곳도 있고 또 어느해는 깨끗하고.. 청태가 끼는 원인이 있을까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질문/답변] 청태가 생기는 원인? 댓글 11 인쇄 신고 제이킥 IP : f5490e6fb58bf98 날짜 : 2019-06-10 08:34 조회 : 14368 본문+댓글추천 : 0 청태가 생기는 원인은 뭐 때문일까요? 1ㅣ청태가 없던 저수지에 어느해는 청태가 심하게 끼는곳도 있고 또 어느해는 깨끗하고.. 청태가 끼는 원인이 있을까요? 추천 0 1등! 여기조아19-06-10 09:05 IP : 601a30a56ca2d7e 먹이사슬 파괴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부하현상 아닐까요 !? 신고하기 추천 1 먹이사슬 파괴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부하현상 아닐까요 !? 2등! 월하정인19-06-10 09:38 IP : 11a534a5beebd84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녹조류와 비슷하다고 알려져있고 ""광합성""으로 세포분열에 의해서 몸집을 키운답니다. 오염원이 없는곳에서 번성하는것은 ""광합성""이 잘되기에 쉽게 발생되는것이고 반대로 수질이 오염되어 너무탁해도 광합성을 작용하지못해 청태가 없는것입니다. 주로 물흐름이없고 수심이 낮으면서 오래동안 고여있는곳이 청태가 발생될수있는 최적의 조건이 되겠죠. 일반적 상식으로 청태가 있으면 수질이 안좋은줄 알았는데 그 반대가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 청태로 수질을 가늠할수없다 보시면 되겠네요. 질문하신 원인은 비교적 물의탁도가 너무 심하지 않으면서 수심이 비교적낮고 고여있는 물에서 ""광합성""에의해 발생된다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3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녹조류와 비슷하다고 알려져있고 ""광합성""으로 세포분열에 의해서 몸집을 키운답니다. 오염원이 없는곳에서 번성하는것은 ""광합성""이 잘되기에 쉽게 발생되는것이고 반대로 수질이 오염되어 너무탁해도 광합성을 작용하지못해 청태가 없는것입니다. 주로 물흐름이없고 수심이 낮으면서 오래동안 고여있는곳이 청태가 발생될수있는 최적의 조건이 되겠죠. 일반적 상식으로 청태가 있으면 수질이 안좋은줄 알았는데 그 반대가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 청태로 수질을 가늠할수없다 보시면 되겠네요. 질문하신 원인은 비교적 물의탁도가 너무 심하지 않으면서 수심이 비교적낮고 고여있는 물에서 ""광합성""에의해 발생된다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3등! 심쿵19-06-10 09:38 IP : b985542e357a26b 배스랑 블루길이가 청태나 이끼 먹고사는 새우를 다 쳐먹어서 그런거 같아요 신고하기 추천 3 배스랑 블루길이가 청태나 이끼 먹고사는 새우를 다 쳐먹어서 그런거 같아요 마부위침19-06-10 09:49 IP : 7805980cbe33410 외래어종 탓이겠죠. 토종어종의 개체수 감소가 원인인듯합니다 붕어나 잉어가 바닥층을 지속적으로 휘젖고 다니면 덜 생기죠 새우나 참붕어등이 없어진것도 원인이고 수온이 낮은 상태로 햇빛을 오래동안 받는곳은 빠르게 생기더군요 토종개체수 감소가 최대 원인인듯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외래어종 탓이겠죠. 토종어종의 개체수 감소가 원인인듯합니다 붕어나 잉어가 바닥층을 지속적으로 휘젖고 다니면 덜 생기죠 새우나 참붕어등이 없어진것도 원인이고 수온이 낮은 상태로 햇빛을 오래동안 받는곳은 빠르게 생기더군요 토종개체수 감소가 최대 원인인듯합니다 충주호노지전문19-06-15 07:51 IP : f17210de6dcb31f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나오는 현상이더라구요. 즉 배스가들어가면 한5년정도 지나니까 어마무시한 청태가 끼는걸봐서 아마도 새우가 피라미가 씨가 마르니 생기는 현상인걸로 추정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나오는 현상이더라구요. 즉 배스가들어가면 한5년정도 지나니까 어마무시한 청태가 끼는걸봐서 아마도 새우가 피라미가 씨가 마르니 생기는 현상인걸로 추정입니다. 노올자659319-06-15 10:20 IP : 795a1fbbd511e78 아 청태 신고하기 추천 0 아 청태 옥계붕어19-06-15 11:44 IP : 8ecc92fc7a67380 떡밥이나 글루텐이 주범이아닐가..작은 반문을 해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떡밥이나 글루텐이 주범이아닐가..작은 반문을 해봅니다,,, 산수부린19-06-15 11:53 IP : 7cb7fd0a684f622 청태... 1.(청태)이끼... 2.(청태)가 발생한 이유는... 3.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4.(수위)변동이 잦은 곳에서... 5.(오염)이 된 곳에... 6.(수위)변동이 잦더라도...(오염)원이 없는 곳에서는 (청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4 청태... 1.(청태)이끼... 2.(청태)가 발생한 이유는... 3.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4.(수위)변동이 잦은 곳에서... 5.(오염)이 된 곳에... 6.(수위)변동이 잦더라도...(오염)원이 없는 곳에서는 (청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로또로인생역전19-06-15 15:10 IP : fac100a6767ffe3 배스 블루길 들어가면 없던 청태가 몇년동안 엄청 끼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0 배스 블루길 들어가면 없던 청태가 몇년동안 엄청 끼더군요 jisoobong19-06-16 20:40 IP : bc7457e16c23af0 물 흐름이 없고 수온이 높으면 청태가 생겨요.요즘 가뭄때문에 계곡지 상류도 청태가 끼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0 물 흐름이 없고 수온이 높으면 청태가 생겨요.요즘 가뭄때문에 계곡지 상류도 청태가 끼더군요. 삼수갑산19-06-16 21:24 IP : d9380220b1be1e1 외래어종 유입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친구들이 없어진 탓인것같습니다. 쉽게 예를들면 바닥을 기는 새우가 없는곳은 청태가 생기지요.. 신고하기 추천 0 외래어종 유입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친구들이 없어진 탓인것같습니다. 쉽게 예를들면 바닥을 기는 새우가 없는곳은 청태가 생기지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2등! 월하정인19-06-10 09:38 IP : 11a534a5beebd84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녹조류와 비슷하다고 알려져있고 ""광합성""으로 세포분열에 의해서 몸집을 키운답니다. 오염원이 없는곳에서 번성하는것은 ""광합성""이 잘되기에 쉽게 발생되는것이고 반대로 수질이 오염되어 너무탁해도 광합성을 작용하지못해 청태가 없는것입니다. 주로 물흐름이없고 수심이 낮으면서 오래동안 고여있는곳이 청태가 발생될수있는 최적의 조건이 되겠죠. 일반적 상식으로 청태가 있으면 수질이 안좋은줄 알았는데 그 반대가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 청태로 수질을 가늠할수없다 보시면 되겠네요. 질문하신 원인은 비교적 물의탁도가 너무 심하지 않으면서 수심이 비교적낮고 고여있는 물에서 ""광합성""에의해 발생된다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3
마부위침19-06-10 09:49 IP : 7805980cbe33410 외래어종 탓이겠죠. 토종어종의 개체수 감소가 원인인듯합니다 붕어나 잉어가 바닥층을 지속적으로 휘젖고 다니면 덜 생기죠 새우나 참붕어등이 없어진것도 원인이고 수온이 낮은 상태로 햇빛을 오래동안 받는곳은 빠르게 생기더군요 토종개체수 감소가 최대 원인인듯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충주호노지전문19-06-15 07:51 IP : f17210de6dcb31f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나오는 현상이더라구요. 즉 배스가들어가면 한5년정도 지나니까 어마무시한 청태가 끼는걸봐서 아마도 새우가 피라미가 씨가 마르니 생기는 현상인걸로 추정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산수부린19-06-15 11:53 IP : 7cb7fd0a684f622 청태... 1.(청태)이끼... 2.(청태)가 발생한 이유는... 3.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4.(수위)변동이 잦은 곳에서... 5.(오염)이 된 곳에... 6.(수위)변동이 잦더라도...(오염)원이 없는 곳에서는 (청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4
jisoobong19-06-16 20:40 IP : bc7457e16c23af0 물 흐름이 없고 수온이 높으면 청태가 생겨요.요즘 가뭄때문에 계곡지 상류도 청태가 끼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0
삼수갑산19-06-16 21:24 IP : d9380220b1be1e1 외래어종 유입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친구들이 없어진 탓인것같습니다. 쉽게 예를들면 바닥을 기는 새우가 없는곳은 청태가 생기지요.. 신고하기 추천 0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부하현상 아닐까요 !?
녹조류와 비슷하다고 알려져있고
""광합성""으로 세포분열에 의해서 몸집을 키운답니다.
오염원이 없는곳에서 번성하는것은 ""광합성""이 잘되기에
쉽게 발생되는것이고 반대로 수질이 오염되어 너무탁해도
광합성을 작용하지못해 청태가 없는것입니다.
주로 물흐름이없고 수심이 낮으면서 오래동안 고여있는곳이
청태가 발생될수있는 최적의 조건이 되겠죠.
일반적 상식으로
청태가 있으면 수질이 안좋은줄 알았는데
그 반대가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니 청태로 수질을 가늠할수없다 보시면 되겠네요.
질문하신 원인은
비교적 물의탁도가 너무 심하지 않으면서
수심이 비교적낮고 고여있는 물에서 ""광합성""에의해
발생된다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붕어나 잉어가 바닥층을 지속적으로 휘젖고 다니면 덜 생기죠
새우나 참붕어등이 없어진것도 원인이고
수온이 낮은 상태로 햇빛을 오래동안 받는곳은 빠르게 생기더군요
토종개체수 감소가 최대 원인인듯합니다
즉 배스가들어가면 한5년정도 지나니까 어마무시한
청태가 끼는걸봐서 아마도 새우가 피라미가 씨가 마르니 생기는 현상인걸로 추정입니다.
1.(청태)이끼...
2.(청태)가 발생한 이유는...
3.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4.(수위)변동이 잦은 곳에서...
5.(오염)이 된 곳에...
6.(수위)변동이 잦더라도...(오염)원이 없는 곳에서는 (청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쉽게 예를들면 바닥을 기는 새우가 없는곳은 청태가 생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