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조 전날 수조찌맞춤 0점으로 맞춘후, 현장가서 다시 0점 찌맞춤 한적이 단한번도 없거든요; 조사님들 현장가서 다시 0점 맞추시는지 궁금해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질문/답변] 현장 찌맞춤 중요한가요? 댓글 26 인쇄 신고 흐르는저수지처럼 IP : 0d4f27dfe301a0d 날짜 : 2012-06-26 12:01 조회 : 7704 본문+댓글추천 : 0 출조 전날 수조찌맞춤 0점으로 맞춘후, 현장가서 다시 0점 찌맞춤 한적이 단한번도 없거든요; 조사님들 현장가서 다시 0점 맞추시는지 궁금해요. 추천 0 1등! 다윤아빠12-06-26 12:07 IP : 9d6876287a23b6f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신고하기 추천 0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2등! 잠자는봄12-06-26 12:25 IP : ce739185ac14786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신고하기 추천 0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3등! 오로지붕어만12-06-26 12:33 IP : 49f338f6994e204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물돼지조사12-06-26 12:54 IP : 472c42e6261e221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새벽찌12-06-26 13:53 IP : ea2909db6cd3b35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개또이12-06-26 15:28 IP : 25b9ee7826ebdda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공주의남자12-06-26 15:57 IP : f46f41a71e11655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엉터리꾼12-06-26 20:37 IP : 4fd538ca81e01a9 될 수 있으면,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천천히 잠기게 찌맞춤을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될 수 있으면,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천천히 잠기게 찌맞춤을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찌르가즘이12-06-26 21:44 IP : e9ff0163a8e2b92 전 그냥 무저건 현장에서 마처욤 신고하기 추천 0 전 그냥 무저건 현장에서 마처욤 꼬앙12-06-26 22:17 IP : 606b3bf6679d20b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꼬치큰스님12-06-26 22:43 IP : 60a7cdc04745c6a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환상적인찌올림12-06-26 23:20 IP : 6804ccbf26920e9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붕어랑지기12-06-27 02:24 IP : d04af6bdf053fce 수조통과 현장 찌맞춤의 차이가 큰 것을 알고난 후부터는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수조통과 현장 찌맞춤의 차이가 큰 것을 알고난 후부터는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하얀강12-06-27 03:05 IP : 8bcc8da994b900c 현장 맞춤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현장 맞춤 합니다. 흐르는저수지처럼12-06-27 10:53 IP : 0d4f27dfe301a0d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32쌍포12-06-28 09:44 IP : d895b9a0e9b00a6 찌 맞춤은 자신이 경험해보고 판단해서 쓰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 맞춤은 자신이 경험해보고 판단해서 쓰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찌맞춤십년째12-06-28 10:09 IP : 62e645bf46a7405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안개속낚시12-06-28 12:23 IP : 67cfc29a8794a72 저는 현장에 가면 대 칸수 자리로 던져서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저는 현장에 가면 대 칸수 자리로 던져서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키큰붕어12-06-28 12:40 IP : 2047b8d5b9e2485 현장과 집수조는 완전히 다르다. 라고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현장과 집수조는 완전히 다르다. 라고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스고이12-06-28 12:51 IP : 27a52ef9ced0fd3 가볍고예민할채비일수록 현장맞춤이라고 생각되네요 신고하기 추천 0 가볍고예민할채비일수록 현장맞춤이라고 생각되네요 금빛바늘12-06-29 13:05 IP : be5902cdae5bec5 현장에서 쇠링 가감으로 다시 맞춥니다..1분도 안걸립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현장에서 쇠링 가감으로 다시 맞춥니다..1분도 안걸립니다. 시즌2™12-06-30 09:29 IP : b26aa2a9a383a65 종이컵 뒷처리 만한 수조통은 현장하고 차이가 나는데 대형 수조통은 별 차이 없이 사용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종이컵 뒷처리 만한 수조통은 현장하고 차이가 나는데 대형 수조통은 별 차이 없이 사용합니다. 잉철12-06-30 16:04 IP : bbdf26468cf06c4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신고하기 추천 0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황씨아자씨12-07-01 15:51 IP : d2ad5b4c9f25651 현장 찌 맞춤~~~~이런게 일거리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신고하기 추천 0 현장 찌 맞춤~~~~이런게 일거리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시즌2™12-07-02 00:04 IP : b26aa2a9a383a65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당첨12-07-02 16:40 IP : 04f8c7c0c3ec540 찌 맞춤의 근원은 정석이 무엇인지 아직도 미궁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 맞춤의 근원은 정석이 무엇인지 아직도 미궁입니다.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1등! 다윤아빠12-06-26 12:07 IP : 9d6876287a23b6f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신고하기 추천 0
2등! 잠자는봄12-06-26 12:25 IP : ce739185ac14786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신고하기 추천 0
3등! 오로지붕어만12-06-26 12:33 IP : 49f338f6994e204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물돼지조사12-06-26 12:54 IP : 472c42e6261e221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새벽찌12-06-26 13:53 IP : ea2909db6cd3b35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개또이12-06-26 15:28 IP : 25b9ee7826ebdda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공주의남자12-06-26 15:57 IP : f46f41a71e11655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엉터리꾼12-06-26 20:37 IP : 4fd538ca81e01a9 될 수 있으면,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천천히 잠기게 찌맞춤을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꼬앙12-06-26 22:17 IP : 606b3bf6679d20b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꼬치큰스님12-06-26 22:43 IP : 60a7cdc04745c6a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흐르는저수지처럼12-06-27 10:53 IP : 0d4f27dfe301a0d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32쌍포12-06-28 09:44 IP : d895b9a0e9b00a6 찌 맞춤은 자신이 경험해보고 판단해서 쓰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맞춤십년째12-06-28 10:09 IP : 62e645bf46a7405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안개속낚시12-06-28 12:23 IP : 67cfc29a8794a72 저는 현장에 가면 대 칸수 자리로 던져서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시즌2™12-06-30 09:29 IP : b26aa2a9a383a65 종이컵 뒷처리 만한 수조통은 현장하고 차이가 나는데 대형 수조통은 별 차이 없이 사용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잉철12-06-30 16:04 IP : bbdf26468cf06c4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신고하기 추천 0
황씨아자씨12-07-01 15:51 IP : d2ad5b4c9f25651 현장 찌 맞춤~~~~이런게 일거리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신고하기 추천 0
시즌2™12-07-02 00:04 IP : b26aa2a9a383a65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