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실수하기 쉬운 낱말

IP : f005234bab57511 날짜 : 조회 : 5545 본문+댓글추천 : 13

1.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 치르는 불교식 제사 의례를 뜻하는 단어.
'49제(祭)'는 틀린 표기이고 '49재(齋)가 옳바른 표기입니다
(참고로 49재의 대표적인 의식인 영산재는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2. 사람이 죽은 후 장사(葬事)를 지낸 뒤 3일째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제사를 지낸 뒤 산소에 가서 성묘하는 의식은 삼오제가 아니고 삼우제(三虞祭)가 바른 표기 입니다

3. 위로는 토(吐)하고, 아래로는 설사(泄瀉)하면서 배가 몹시쓰리고 아픈 급한 증세를 일컬어 '토사광란' 이라하는데 바른 표현은 '토사곽란[吐瀉癨亂]' 입니다

4. '같이 고생하고 같이 즐김'을 일컷는 말은
동거동락이 아니고 동고동락[同苦同樂]이 맞습니다.

5. 다른 사람의 목소리나 짐승의 울음 따위를 흉내 내는 것의 올바른 표현은 '성대묘사'가 아니고 '성대모사[聲帶模寫]'가 옳습니다.

6. 혐의자를 신문(訊問)할 때 예상되는 죄상(罪狀)의 단서(端緖)를 얻기 위해 교묘한 질문을 하여 무의식중에 자백을 하도록 이끄는 신문(訊問)은 '유도심문'이 아니고 '유도신문[誘導訊問]'이 옳습니다.

7. 피륙에 무늬를 찍어내는 염색 방법을 선전하는 오류 간판이 서울에 많은데
'나염'이란 간판은 잘못된 것이고 날염(捺染)이 바른 표기 입니다.

8. 대학 입시 및 공무원 공채시험에 출제돤 문제인데 청렴결백(淸廉潔白)과 관계되는 색깔(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흰색)을 골라라고 했는데 많은 응시자들이 맑을 청(淸)을 보고서는 파랑색을 선택했으나 흰색이 맞습니다.

9. 한방(韓方)에서 '고름이나 나쁜 피를 뽑아내기 위해 살갖 위에 붙이는 일'을 흔히들 '부황'으로 잘못 표기하는데 '부항(附缸)'이 바른 표기 입니다.

10. 장기를 둘 때 한 수로써 두 말이 한꺼번에 장을 부르게 되는 경우의 
'양수겹장'은 잘못된 표현이고, '양수겸장[兩手兼將]'이 맞습니다.

11. 몹시 어려운 지경'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서 일신상 최악의 경우를 각오하고 어떤일을 처리 할 때 이르는 말을 흔히들 '산수갑산'에 가더라도....하는데
'삼수갑산[三水甲山]'이 맞습니다 참고로 '삼수'와 '갑산'은 지명입니다

12. 질서나 체계 따위가 바로잡혀 조금도 흐트러진 데나 어지러운 데가 없는 상태를 일컬어 '일사분란'이라고 하는데 이는 '일사불란[一絲不亂]'이 옳습니다.

13. 이세상에서 비교될 수 없는 상태를 '절대절명'이라고 흔히 말하는데 '절체절명[絶體絶命]'이 옳은 표기입니다.

14. 의지할 곳 없는 홀몸을 일컬어 '홀홀단신'이란 표현은 잘못됐고 '혈혈단신[孑孑單身]'이 옳습니다 .

15.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동정하고 도움을 나누는 일'을 흔히들 '동병상린'이라고 말 하는데, 동병상련[同病相憐]이 맞습니다.

16. 사방으로 날아 흩어지는 현상을 '풍지박산' 혹은 '풍지박살'은 잘못된 표현이고, '풍비박산[風飛雹散]'이 옳습니다.

17.좋은 옷과 좋은 음식이라는 말로 잘입고 잘먹고 지내는 생활을 일컷는
'호위호식'이란 표현은 '호의호식[好衣好食]'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18. 밤낮으로 쉬지않고 잇달아서 하는 일을 일컬어 '주야장창'이란 표현은 '주야장천[晝夜長川]'으로 표기함이 옳습니다.

19. 남을 대하는 낯을 돌아보지 않는, 상대를 무시하는 태도같은걸 
'체면불구'라고 흔히 말하지만 '체면불고[體面不顧]'가 옳바른 표현입니다.

20. 살리고 죽이고, 뺏고, 마음대로 하는 권력을 일컬어 흔히들 '생사여탈'이라고 하지만 '생살여탈[生殺與奪]'이 옳습니다.

21. 많은 사람들의 떠드는 분위기를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 또는 '많은 의견을 질서있게 받아넘기기 어려움'을 표현 할 때 
'중구남방'이라고 하는데 '중구난방[衆口難防]'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대부분 알고 있는 것들이고,

일부는 생각과 다르기도 하지만 어원을 살펴보면 맞는 내용 같습니다.

​(옮긴 글)


2등! IP : d2803fd74b71935
대충 찍어보니
저는 그래도 70점 정도 나오네요. ㅎㅎ

많이 배웁니다.
추천 0

IP : 6050545f5624adf
1,2,7,19 항목은 잘 못 알고 있었네요.
잘 익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fad107847147101
제가일상생활에서 사용한 단어가 많이 틀렸네요 항상 의문점은 네이버에 질문을하는데 많이틀린내용 반성하면서 이제는 고사성어를 사용할때는 바른말인지 바른 단어 인지 묻고 또물어서 사용해야 되겠읍니다. 좋은문장 잘보았읍니다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c8b8ea39173eb0d
우리나라에서 쓰는 말들은 어느정도는 안다고하는 저도 헷갈리는게 있었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