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가정용은 220V 2가닥 교류가 들어오구요.
중성선 N상을 쓰는곳은 보통 공업용 380V 3상 4선
4가닥중 한가닥이 N상인데 그것과 다른 한선을
연결해서 쓰면 220V로 전압이 하강됩니다.
동력쪽은 380볼트로 쓰고 조작전원은 220볼트로 쓰기
위해서 쓰는거죠.
누전차단기 전원 들어온 상태에서 차단기 아래쪽 버튼만 눌러서 떨어지면 정상.
기기쪽 고장이나 콘센트 누전이나 합선이 제일 많을겁니다.
전부 누전차단기 달린걸로 보이고 물이나 습기가 많이 차서 기기고장으로
차단기 트립되니 전선까지 교체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합선되어 뻥소리나며 불꽃튀어도 누전차단기 떨어지니 별걱정하진 마세요.
BKM상태로 봐선 청색이 접지인듯 하네요
적색 흑색이 전원선이고
잘못연결해서 차단기가 떨어젔다면 전원 연결 하지 마시고
올린상태에서 빨간 버튼 눌러서 떨어지면
차단기는 이상 없는것 입니다
바꿀필요 없이 사용하시면 되구요
혹시 모르니 테스터기 하나정도 집에 구비해 두시는게
좋습니다
만원 정도면 단순기능 있는건 살수 있습니다
고리 콘센트에 되지코 모양의 구멍쪽에
빨강과 검정 연결 하시고 파랑은 접지쪽
그러니까 철사 처럼 나와있는곳에 연결 하시면 됩니다
헐...두분다 맞는 말씀인데...이론적으로 실제적으로도 n상은 접지와 찍었을때 0볼트가 나와야죠...
즉 한쪽만 흐르는게 정상입니다. 근데 현장 가서 직접보면 양쪽다 흐르죠...
이유는 아실겁니다.
상간 균형을 맞춰서 포설 해줘야 하는데 처음엔 맞춰서 하더라도 나중에 필요에 의해 이놈 저놈 와서 r s t 암데서나 따가다 보면 결국 n상도 전압이 나오는 경우가 부지기 수죠...
그래서 220 이라도 두선중 암거나 만져도 감전 되는거구요...
결론...전기는 업자 불러 만집시다~~~ 끝? ㅎㅎ
해결 하셨나요 ?
답글이 너무 전문가적인 글을 올려주셨네요~ ㅎㅎ
검정과 적색이 220v 나오는선이고 파란선이 접지선이네요
보통 녹색선을 사용하는데 파란색이라 혼동이 온듯합니다
사진의 콘센트 뒤를 보면 파란색 꼽혀있는곳에
녹색으로 누름단추가 되어있네요
선을 빼실때 뾰족한 걸로 저걸 누른 상태에서 빼시면 됩니다
가정용 테스트기가 있으면 간단한 문제인데 없으신가 봅니다
일단...
현재 상황에..
파란색선이 꽃힌부분이 접지선이
꽃혀야 할자리 입니다.
접지선을
찾아야 하는데 테스터기가 없으시다면..
일단 분전함을 열어보십시오..
각각의 차단기 하부쪽 전기선들이 보일겁니다...
그걸 일단 찍어서 댓글에 올려주시면
해결할수 있을듯합니다.
요래 생겼을겁니다
콘센트는 보통
콘센트에서 콘센트로 이어주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다른쪽 콘센트를 뜯어봐서 접지선의 색깔만
확인 하시면 되구요...
분전함 열고 보호캡열었을 경우
색깔들이 각각 다르다면 접지쪽
색깔만 맞추어도 해결될겁니다..
이렇게 생기긴 했는데 일단 선 위치 한번 바꿔 보고 안되면 도라이버 풀어서 올려볼게요
검은선이 접지일 확율이 매우 높지만
전기는 눈으로 확인사살 필스죠...
월짱붕어님...
오해 하지마셔염...
막꼽으면 안된다고 한건 월짱붕어님 댓글ㅊ없을때
수달님께 말씀드린거에염....^&
녹색이 접지선입니다.
건축허가가 필요한 건물에는
반드시 녹색선이 접지여야만 합니다.
적, 흑, 백, 황색 따위는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절대 접지선으로 쓰지 않습니다.
접지선은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이 안되도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댓글 사진을 보니 차단기가 하나 내려가있는데
그게 아닐까합니다.
차단기가 내려간게 아니라면
콘센트를 새것으로 교환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새것으로 교환을 했는데도 안되면
어디선가 단선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똑같이 색연결해보세요
사진도 한번 확인하셔야 할듯....
기술자 부르는것 외에 방법 없겠죠?
제 댓글 순서로 안하셨죠?
ㅠㅠ
콘센트 옆에거 확인 하시라니깐....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관련 콘센트도
전부 안들어 올건디요
열었을때 이렇게되있네요 ㅠ
청색선은 접지선ㅜㅜ
그 차단기와 연결된게 그게 다일듯 합니다.
사고는 치셨고...
수습은 해야 하고...
차단기용량 같은거로 철물점또는 전기재료상가서구입후 메인차단기 내리고 교체하시면 될듯요
메인은 왼쪽 큰거구요
선의 그을린 부분을 잘라내고 다시 연결 하시면 됩니다.
콘센트도 그을렸으면 콘센트도 갈아 주시구요.
차단기도 테스트 해보시고
이상이 있다면 갈아야 됩니다.
차단기 테스트는
차단기 스위치를 올린 다음에
스위치 밑에 버튼을 눌렀을 때
딱 하는 소리와 함께 스위치가 내려가면 정상입니다.
본문사진처럼 검정 빨강 양쪽 윗구멍에 꼽고 청색 접지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요게 색깔이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이유는 패스 하고요...
철물점 가셔서 콘센트랑 누전차단기 사시고
댁에 오셔서 파란색은 접지구멍에
남은 두선은 각각 하나씩 꽂으시거
누전 차단기 올려보세요..
여기서 누전 차단기가 안올라갈경우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차단기 내리고
새로사온 누전차단기 교체 해야 합니다.
제가 한건 양반이네요...
교류는 두선 모두 흐릅니다.
수달님 다행입니다...
그래도 콘센트는 교체하는게 좋을듯..
내일 중성선에 관해 한번 알아보세요
왜 전기가 한쪽만 흐르는지 아실겁니다...
그리고..
댓글 다실때는 원문 좀 제대로 읽고
사진도 좀 보시고..
남들 댓글도 좀 읽으시길...
원문 사진속...에서 녹색접지선이 보이나요?
그리고 차단기가 내려가있는 댓글 사진은
작업 한다고 내렸을거구요...
그리고
댓글로
자꾸 잘못된지식전파??
무슨 잘못된지식을 전파 했는지
올려보세요...
내일 오후 6시까지 기다려 볼게요..
자꾸 잘못된 지식 전파?
자꾸라고 했으니 두개 이상의 잘못된 지적이
나와야겠네요...
그래야 저도 잘못된 지식을 바로 잡고
다른분들도 바른지식을 갖게되겠죠...
.
.
.
콘센트 코드구녕 두개다 220v전기가
두개나 흐르다니...
댓글중..
검은색 전선이 접지일 확율이 높다라고 한건
일반적으로 빨간게 상전압(핫라인)으로 많은분들이
중성선으론 흰색이 없을경우 청백이란 의미로
청색을 쓰는경우를 많이 봤죠...
그래도
전기는 항상 눈으로 직접 확인 해야 된다고 한거구요...
오늘6시까집니다..
잘못된지식을 지적하시던..
사과를 하시던...
결정을 내리세요...
중성선 N상을 쓰는곳은 보통 공업용 380V 3상 4선
4가닥중 한가닥이 N상인데 그것과 다른 한선을
연결해서 쓰면 220V로 전압이 하강됩니다.
동력쪽은 380볼트로 쓰고 조작전원은 220볼트로 쓰기
위해서 쓰는거죠.
누전차단기 전원 들어온 상태에서 차단기 아래쪽 버튼만 눌러서 떨어지면 정상.
기기쪽 고장이나 콘센트 누전이나 합선이 제일 많을겁니다.
전부 누전차단기 달린걸로 보이고 물이나 습기가 많이 차서 기기고장으로
차단기 트립되니 전선까지 교체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합선되어 뻥소리나며 불꽃튀어도 누전차단기 떨어지니 별걱정하진 마세요.
3선중 하나는 접지, 중선선, 상? 이라고 해야 되나요..
상에서 중선선으로 흐른다고 보는게 맞겠죠.. 고로 한쪽에서 흐르는는게 맞고 또.. 서로 흐르니 두선다 전기는 들어오는게 맞는거 같고..
ㅋ 두분다 같은 말씀이신거 같아요..ㅋㅋ 맞죠?
공장 이사와서 보니..오래된 배선들이 있어서..모두 걷어내고 배전반부터
싹다 새로 갈아버렸어요..
물론 맡겼기 땀시..
돈이..ㅜㅜ
혹시같은 색상이면 따라해보세요
같은 색상의 선을 사용했을겁니다
우리나라 일반전압 입니다 두선다 전기 흐르고요 펑터졌다 하시는건 예상컨데 적색과 검정을 콘센트 한쪽 구멍에 꽂으셨거나 접지단자에꼽고 조립후 차단기올리셨거나 하셨을듯 하네요 중성선은 일반단상 교류전기에서는 상관없구요 윗분 말씀데로 380 v3상4선식 공장기타상업용전기에서 220V단상을 뽑아쓸때 N상이라고 하는중성선 한가닥과 나머지아무데나 하가닥을 빼면 220v로 다운된 전압을 쓸수있습니다 . 누전차단기가 하나만 노란것은 일반적으로 법으로정해진 사람이 감전되지않고 누전차단기 감도전류라는게있어요 보통 가정은 30ma 짜리를 써요 100ma가넘어가면 감전시 사람이죽을수도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화장실은 물기와습기가많으니 더 고감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것일수도있구요
안전하지만 너무고감도라 쓸데없이 트립되는경우가 더러있습니다 안전을위해 고감도로 설치한것이니 30ma이하로 설치하시구요 누전차단기는 전기가들어와있어야 트립동작을합니다 빨간테스트버튼 눌럿을때 트립이 되면정상입니다. 콘센트는 화장실쪽은 덮게있는것으로 교체하시면 좀더안전합니다 가까이 계시면가서 해드리고싶네요 ... 만지실땐 꼭 차단기 끄고 하시기바랍니다.
뭐 이시간 까지 댓이 없다는건..
지적사항을 발췌를 못했거나
사과할 뜻이없는거겠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우리나라 일반갖엉집은 단상2선식교류전류 방식입니다.
상이 같은 두개의 선로를 따와
220v의 전기를 공급하는거죠..
이상은 보통 RSTN 접지를 G라고 표기도 하고
ABCN으로 표기 합니다...뭐 중요하지 않아요...
여기서 R상 220v S상 220v T상 220v
N상은 거진 0v 입니다....
RST 아무거나 한선과 N상하나를 연결하면
220v나옵니다..
이게 우리나라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전류공급 방식입니다.
우리집엔 RSTN 이럴게 4선이 없다고요...
있을필요가 없으니 없는겁니다...
밖의 분전함이나 그외 따로 있는곳이 있으니까요...
RST 가 전선에 두개가 존재 한다면 테스터기 대보십시오
220v가 아닌 380v가 나올겁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우리나라 가정용 전기 공급은
단상2선식입니다...
확인 해 보실분은 테스터기가 있다면
분전함이나 코드구멍에
테스터 해보세요...
두선에 전기가 흐른다면
접지에 물리고 구멍 아무데나 쑤셔도 220v가 나올것이며
제 기준으로는 어느 한구멍은 220v가 나오고
남은 한구멍은 0v내지는 미약하지만 소량의 v만
나올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나가있어님..
저 한테 뭔 불만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대놓고 없던 사실을 유포 하며뉴안되죠...
걸어오는 싸움은 피하지 않는 성격이니
댓글 남기시던가
아니면 대명 처럼 나가있으시오...
일반 가정집 건물로 보입니다 간혹 상식이없는 분이 접지 색을 구분없이 사용합니다 그래서2021년 부터 정부에서 전선색상등 지정하여 의무화합니다
깜돈님 은 좀더 전단계에 일반적인?전기지식이없는분들은 알지못하는 전문가적견해인듯합니다..글쓴분의 집이 개인주택인지 아파트인지 전력공급방식이 알수없는상태에서는 정답도 없네요....두분다 틀린말은 없습니다
중성선도 선이라부르는 전력을 흘려쓰는선이고 상간부하가 문제가생기거나 기타 상황에따라 전류가흐는선맞구요 TN ,TT등등기타 배전방식에따라 달라지는점도있습니다..전기란게 자꾸 들어가면 전기하는사람도 머리아픈거죠^^ N상은 전기가없다 그러나 경우에따라 위험해질수는있죠 지금 이런글도 이해하시는분들은 전기하시는분이나공부하신분아니시면 이해하기싫거나못하실듯합니다...
발단은...
자꾸 잘못된지식으로 피해를 준다는 말이였습니다.
어이가 없어서...
꼴통님은 제가 단 댓글에서 피해를 주는부분이 어떤것인가요?
저는 당췌 알수가 없네요...
그것도...
자꾸...라는 반복이상의 의미가ㅜ있는 단어를 들먹이면서...
그래서 제가 열 받은 겁니다..
건성으로 댓글 달고
그러면서 답은 그냥 차단기 내려 가서니 어쩌니...
교류전류가 두선이 다흘러??
교류전류란게 흔히 우리가 말하는 ac
직류가 dc인지도 알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적색 흑색이 전원선이고
잘못연결해서 차단기가 떨어젔다면 전원 연결 하지 마시고
올린상태에서 빨간 버튼 눌러서 떨어지면
차단기는 이상 없는것 입니다
바꿀필요 없이 사용하시면 되구요
혹시 모르니 테스터기 하나정도 집에 구비해 두시는게
좋습니다
만원 정도면 단순기능 있는건 살수 있습니다
고리 콘센트에 되지코 모양의 구멍쪽에
빨강과 검정 연결 하시고 파랑은 접지쪽
그러니까 철사 처럼 나와있는곳에 연결 하시면 됩니다
글이 많아졌네요.
깜돈님.
콘센트가 가정에서 흔히 쓰는 220볼트 단상용인데다
차단기 또한 단상용인데
3상이나 고압에 사용되는
중성선을 논할 필요가 있나 싶구요.
가정용 교류전류는
두선 다 220 볼트 들어옵니다.
못믿겠으면 젖은 손으로 만져 보시지요.
접지선은 법적으로
녹색선을 써야 하구요.
녹색선이 없어서 비슷한 파란색을 쓰는 경우는 있어도
흑색선을 접지로 쓰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가정용 교류전기라도 일반적으로 엔상 만지면 전기 안와요.. ^^
여기서 중요한건 일반적으로 입니다.
그리고 두선다 220볼트가 들어오는 가정용 교류 전기는 없어요.
나가님이야 말로
"자꾸 잘못된 지식으로 피해주지 맙시다."
3상이나 고압에쓰는 중성선?
중선선은 아주 오래전 110v와220v 혼용으로
쓸때도 중성선이 있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가정용 전기는 단상2선식입니다
눈에 선이 안보인다고 없는게 아니며
가정에선 필요가 없으니 굳이 깔지 않는것뿐입니다
쉽게 유트브에서 검색 한번 해보세요
단상2선식 이라고도 쳐도 많이 나올거에요.
공부도 많이 될겁니다
ㅎㅎㅎ
아침 부터 웃음짓게 만드시네요...
이궁...말을 말자...
Ps.
중성선 없는 교류 전기는 존재할수 없다...
제가 아는 상식입니다...
이번 사고의 일조를 한것같아 부끄럽습니다.
앞으로 댓글달때 신중히 생각해야 되겠다는걸 깨달았습니다.
죄송합니다. 아무쪼록 잘 해결되셨으면 합니다.
접지선은 녹색을 쓰는데 없으면 대충 입선하죠
정확한건 테스트기로 2가닥씩 찍어보시고
220V 나오는거 중간에 2개 꼽으세요
그카믄 들어올끼라예
여기 전기쟁이들 많을낀데...ㅎㅎㅎ
변압기 아시는분은 정말로 갑중에 갑입니다.....
무서워염
즉 한쪽만 흐르는게 정상입니다. 근데 현장 가서 직접보면 양쪽다 흐르죠...
이유는 아실겁니다.
상간 균형을 맞춰서 포설 해줘야 하는데 처음엔 맞춰서 하더라도 나중에 필요에 의해 이놈 저놈 와서 r s t 암데서나 따가다 보면 결국 n상도 전압이 나오는 경우가 부지기 수죠...
그래서 220 이라도 두선중 암거나 만져도 감전 되는거구요...
결론...전기는 업자 불러 만집시다~~~ 끝? ㅎㅎ
110볼트와 220볼트 쓰는 변압기 입니다
+스가 2선 -가 1선 +,+ 220볼트 +,- 110볼트
중간 사진은 3상변압기 380볼트 변압기죠
380볼트와 220볼트 쓰는 변압기 입니다
+스가 3선 - 가 1선 +,+ 380볼트 +,- 220볼트
보통 380볼트장비는는 3선이 필요하죠
희귀장비로 380볼트 2선 필요한 장비도 잇더군요 (스폿용접기 던가 ) 저도 공단에서 처음보고 놀랫습니다..........
마지막 사진은 단상변압기 220볼트 쓰는 변압기죠
3상4선식(380볼트)가 필요없는 곳에 220볼트만 필요하는곳에
설치하는 변압기죠
+가 1선 -가 1선 +,- 220볼트
전기가 온다는데 그럼 우린 다 죽습니다....
이 선은 접지와 동등한 방법으로 만듭니다....
못미더우면 테스터기구하셔서 +상과 접지선에 테스트 해보세요...
전봇데 중간쯤 보시면 작은 구멍에서 전선 한가닥 나와서 위로 올라가시는걸 볼수 잇습니다..
전봇대 심을때 접지동봉을 박아 N상과 쪼임을 합니다...
그런데 N상에서 전기가 온다 ...... (단상 3선식변압기는 보기힘들어서(극히 일부에만 남아 잇어서리)
으미심장하군요...........
****참고로 사진은 로드뷰에서 가저온겁니다 처음사진 보시면 촬영 날짜 나와잇죠
****저도 저곳에서 저 변압기보고 놀랫습니다
******전국이 승압공사가 끝난지가 언제인데 아직도있나 해서요
답글이 너무 전문가적인 글을 올려주셨네요~ ㅎㅎ
검정과 적색이 220v 나오는선이고 파란선이 접지선이네요
보통 녹색선을 사용하는데 파란색이라 혼동이 온듯합니다
사진의 콘센트 뒤를 보면 파란색 꼽혀있는곳에
녹색으로 누름단추가 되어있네요
선을 빼실때 뾰족한 걸로 저걸 누른 상태에서 빼시면 됩니다
가정용 테스트기가 있으면 간단한 문제인데 없으신가 봅니다
110v랑 220v를 혼용해서 쓸때나 나온걸로
배웠는데...
저는 아직도 이해가 안되더군요...
전류 두개에 중성선 하나를 넣고
붙이는 방향에 따라 110v
220v.. 나온다던게...
이해도 안되었고
설명해 주시는분도 없었습니다...
나중에 기회 된다면..
한수 가르침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로 저기 변압기는 영화에서 뻥터지는게 정답입니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