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봉돌 채비가 의미가 있나요~??
어차피 찌와 봉돌의 부력과 침력은 제로인데..
붕어가 들어올리는건 봉돌의 무게가 아닌..
떡밥과 바늘 그리고 목줄무게일텐데..
이물감 이물감 하는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바위를 봉돌대신 달아놔도 그 무게를 상쇄시키는 찌의 부력만있다면 되는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고수분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원봉돌은 봉돌하나에 무게감이 다 실려있어 붕어 이질시 아무래도 이물감을 느낄겁니다.
좁쌀채비는 좁쌀을 몇개 다느냐에 따라 하나 하나에 무게가 분산되어 있기에 같은찌 맞춤시에도 입질시에 예민하게 찌표현이 됨니다 .이건 분할채비. 사슬채비와도 같습니다 원봉돌은 유속이 있으면 살짝흐르고 마는데. 좁살은 낚시줄ㄱ자로 꺽어질때까흐름니다 파도가 있을때는 원봉돌 그자리 지키고 있고.좁쌀 이리갔다 저리갔다 합니다
진짜 제가 이해력이 부족한가봅니다...ㅜㅜ
봉돌의 무게감이라 하셨는데 무게감이 존재할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찌의 부력으로 봉돌의 무게를 0으로 만든게 제로찌맞춤이 아닌가요~??
즉 붕어는 봉돌의 무게를 드는게 아니라 떡밥 바늘 목줄의 무게를 드는게 아닐까요~??
흔히들 말하는 제로찌 맞춤 하면 봉돌이 떠잇는 상태에서 케미끝이나 케미 꽂이에 마춥니다
이제 낚시를 합니다 봉돌은 바닥에 닿아 있을것이고 한목반목 내어 놓거나 케미꽂이살짝 노출정도로 낚시를 시작 합니다
붕어가 입질을 합니다 찌가 올라오겟죠 봉돌의 무게는 찌가 케미끝에 마춰논것이고 찌가 올라오는 순간 0의 상태는 꺠지게 되고 붕어의 입술에 바늘 무게 목줄 무게에 더해
봉돌의 무게가 걸리기 시작 합니다 찌가 점점 올라옵니다 0의 상태는 깨진지 오래고 봉돌의 무게는 점점 크게 걸리기 시작 합니다
분할 봉돌을 쓰면 그 봉돌의 무게가 제일 아래에 있는 봉돌에만 걸리게 됩니다
왜냐 윗봉돌은 부력이 더 큰상태기 때문에 점점 떠오르는 상태고 아랫봉돌의 무게만 붕어의 입술에 걸리게 됩니다
이 역시도 찌올림이 높아 질수록 아랫봉돌의 무게는 온전히 다 붕어의 입술에 걸리게 됩니다
좁쌀봉돌 채비나 스위벨 채비 같은경우 아랫봉돌을 가벼운걸쓰게 되면 카본사를 누르지 못할 지경이 됩니다
그래서 분할 봉돌 채비는 대부분 부드러운 당줄이나 케블라 pe를 쓰는게 유리 합니다
찌맞춤도 바늘 달고 수평 마춤이나 무바늘에 케미 반이나 수평마춤 해야 채비가 안정적으로 안착이 되고
그렇게 좀 무겁게 마춰도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은 원봉돌에 비해 상당히 적은편입니다
뭐 저같은 경우는 원봉돌만 쓰는편인데 수초나 감탕 지대에서는 찌가 매우 빨리 가라앉게 마추는 편입니다만..ㅋㅋ
정확하고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제로 이후 부력과 침력이 깨졌을때의 관계를 생각못했네요^^;;;;;
정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군계일학 성 사장님 동영상 입니다
도움이 되실려나 모르겠으나 올려 봅니다^^
1. 붕어가 첨부터 올리는 것은 아니고 흡입행동부터하죠
여기서 좁쌀의 역할은 흡입시 무게를 덜 느끼게 하는 거죠
2. 그다음 수면쪽으로 직각으로 올라오던가, 아니면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움직이면서 올리던가 하나겠죠
직각으로 올리는 것은 찌의 부력이 담당하니까 저항감을 느끼지 못할겁니다
문제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올릴때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는 찌부력의 도움없이 순수한 붕어의 힘으로 이동시키는거죠
이때 봉돌의 중량이 적으면 봉어가 느끼는 저항감은 저감되셌죠
그래서 분할채비시 바닥봉돌 중량?? 중간목줄길이(본봉돌- 바닥봉돌의 거리)를 얼마로??? 등으로 기교를 부리게되죠
채비는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습니다
분할채비는 대류, 원줄종류 및 호수선택 등등......... 을 고려해야할겁니다
수평찌맞춤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항공모함과 고무보트 어떤게 더 힘들이지 않고 움직일까요?
닿기도 전이니 봉돌의 크기보다는
오히려 먹잇감의 크기에 따라서 붕어가
쓰는 흡입력이 달라지겠지요.
먹잇감 흡입후 들어올릴라니 이때부터
좁쌀봉돌의 저항력이니 원봉돌의 저항력이
작용할겁니다.
이때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계절적 기상적
요인등의 예민함보다는 양어장처럼 많이
당한 경험으로 고기들의 조심성이 강할때
관계되는 의미가 있는것 같습니다.
노지에서는 그 조심성이라는게 사람이나
수중 공격어종 문제이고 막상 이런 요소들만
아니면 잇감 흡입과정에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건 자기 부력만으로 찌가 내려가는 속도로
입질후 찌가 같은 속도로 올라오지 않는데에서
충분히 확인되는것 아닌가 싶습니다.
빠르게도 올라오고 느리게도 올라오는 것은
이미 찌의 부력은 크게 깨져 있다는것이고
붕어에 의한 외력이 부력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것이고 부력이 큰 문제가 아니라는 증거..
노지에서만큼은 흡입시 봉돌의 저항력보다는
조심해야 될 대상이 되어버린
내가 문제인것이고 밥때가 아니라서이지
좁쌀이 아니라서 입질 못 받는게 아니라는..
간혹 옥내림 채비와 비교하나 채비와 대 길이
자체가 어차피 비교 대상도 아니고..
바닥도 장대를 쓴다하나 고부력이어서 툼벙툼벙만
하지 않는다면 잦은 투척이 오히려 붕어들의
유인책이 될수 있는데 힘들어 하거나
길목 대물채비어서 그렇게들 안하시는데에서
조과차이가 날수 있다고 봅니다.
서너대 가벼운 채로 잦은 투척에 대물이든
마릿수든 조과가 좋을때가 훨씬 많지요
귀찮고 힘들어서 그렇지..
찌가 상승을 하기 위해서는 그 평형상태를 깨트리는 외력이 필요한데 붕어가 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붕어가 입질로 봉돌을 들어 올려야 되는데
이때 봉돌의 무게가 붕어에게는 이물감,또는 부담이 되겠죠.
조개봉돌이 바닥에 누워있을 때, 그리고 세워져 있다는 가정하에 그 부담감은 차이가 납니다.
누워있는 봉돌은 부담이 클 것이고 세워져 있으면 작아질 것입니다. 봉돌이 세워져 있기는 쉽지않겠지만 누워있는 경우보다 찌의 부력이 봉돌의 중력을 줄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찌맞춤시 마지막 단계에서 봉돌을 커터칼로 살짝 긁어내는 행위는 좀더 예민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겠죠.
들어올릴 놈은 다 들어올리니 피곤하게 하지않겠다는 조사는 그냥 풍덩채비 하시면 되고,
붕어의 이물감을 최대한 줄여서 입질을 자주 받고 싶은 조사는 커터칼을 쓰시면 됩니다.
모두들 안출하시고 즐낚하는 이가을 됩시다
배고풀때는 이물감... 그런거 읍습니다.
배부를 때는 쫌...
친구가 저보다 배는 더 잡았네요
떡밥은 제가 개서 친구와 나누었음
붕어가 봉돌을 들때
0.000001의 힘만 쓰면 봉돌이 들리는 상황인데
평소처럼 10이란 힘을 쓰면
9.999999 라는 무게를 순간적으로 느끼게되죠
허나, 스위벨 채비라면 0.5그람의 스위벨 만큼만 느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