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스때문에 몸을 키웠다가 아니라
배스때문에 몸이 커졌다가 맞죠
배스가 붕어를 다잡아먹으면 붕어 개체수가 줄어드니 물속에 먹이가 넘쳐납니다.
붕어개체수가 적으니 남은 놈들은 배가터지도록 먹는거죠
작은 수서생물 뿐만 아니라 붕어가 먹는 플랑크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죠
붕어가 숨만 쉬어도 아가미에 걸러지는 플랑크톤으로 인해 밥먹고 있는 것과 같이 됩니다.
그리고 플랑크톤이 넘쳐나니 여름에 녹조가 넘쳐나는거구요..
토종터 가보면 저수지 크기에 상관없이 녹조 있는 곳 잘 없습니다(상류 오염원 있을경우 녹조가 있는 경우도 있음)
그러나 배스터 가보면 쪼그마한 저수지도 여름에 녹조 넘쳐납니다.
토종붕어. 겨울에는 ‘술에 취해’ 추위를 이긴다. 환경부 한강물환경연구소 제공. 붕어는 이런 기발한 번식방법뿐 아니라 다른 기발한 생존 전략도 보유한다. 겨우내 꽁꽁 얼어붙은 저수지나 연못 바닥에서 붕어는 4~5달 동안 겨울잠을 자지 않은 상태에서 살아남는다. 얼음과 눈으로 덮인 저수지 바닥은 햇빛이 투과하지 못해 무산소 상태다. 붕어는 간에 저장한 글리코겐을 분해해 생존을 위해 에너지를 얻는데, 그때 분해 산물로 젖산 대신 알코올이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젖산에 의한 위험을 피하는 것이다.
이때 붕어의 혈중알코올농도는 100㎖당 50㎎(0.05%에 해당)이 넘는데, 사람이라면 면허정지 처분을 받는 수준이다. 붕어는 무산소 상태에서 술 빚는 효모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효소를 만들어 생존한다(▶관련 기사: 한겨울 연못 밑 붕어는 술에 기대어 생존한다).
외래종 포식자인 큰입배스에 대한 붕어의 대응책도 눈길을 끈다. 장민호 공주대 생물교육과 교수팀이 우리나라 호수와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배스가 사는 곳의 붕어는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어릴 때 빨리 자라는 생장 전략을 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배스가 있는 곳의 붕어는 길이보다 몸의 부피를 늘리는 쪽으로 성장했다. 배스의 목구멍에 쉽게 넘어가지 않도록 몸의 형태를 바꾼 영리한 전략이다. 수많은 어려운 환경 변화에도 붕어가 우리 주변에서 끈질기게 살아남는 데는 이유가 있다.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배스 때문에 붕어가 몸집을 키운지 알고 계십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잘지내고 있는 한마을에 강자가 이사를 온다면 주민 분들은 무서워서 집밖에 나가지를 거이 못합니다 수초에 은신해 있다가 먹이 활동 할때만 슬금슬금 나갑니다
생각 해보세요 먹이 활동이 끝난후 움직이지도 않고 가만히 있으면 자연적으로 몸집은 커집니다
배스의 라이징 먹이활동이 끝나면 붕어들이 나와서 먹이활동 합니다
그래서 배스터 에서는 오전 10시 까지가 붕어 입질 시간 입니다
토종터는 오전 8시 까지 입질 시간
생각만 해도 흐믓합니다 ㅋㅋ
수달은 큰놈부터 먹더라구요.
토종 가물치들이 토종 붕어치어 낼름 먹어버리겠죠?
..ㅡㅡ 토종끼리 전투가 예상됩니다.
전혀 공감하지 않는 1인입니다..
3~40년만에 외부 생존때문에 몸을 키웠다면
100~200년뒤엔 손발이 생기겠죠?ㅋ
자연 ㆍ몰라요ᆢᆢᆢᆢ
서식환경 유전자 먹이량 등에 의해서 체고가 크고 작고 하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배스가 없는 토종터에서도 체고 좋은넘들 많습니다.
배스때문에 몸이 커졌다가 맞죠
배스가 붕어를 다잡아먹으면 붕어 개체수가 줄어드니 물속에 먹이가 넘쳐납니다.
붕어개체수가 적으니 남은 놈들은 배가터지도록 먹는거죠
작은 수서생물 뿐만 아니라 붕어가 먹는 플랑크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죠
붕어가 숨만 쉬어도 아가미에 걸러지는 플랑크톤으로 인해 밥먹고 있는 것과 같이 됩니다.
그리고 플랑크톤이 넘쳐나니 여름에 녹조가 넘쳐나는거구요..
토종터 가보면 저수지 크기에 상관없이 녹조 있는 곳 잘 없습니다(상류 오염원 있을경우 녹조가 있는 경우도 있음)
그러나 배스터 가보면 쪼그마한 저수지도 여름에 녹조 넘쳐납니다.
'베스에게 잡혀먹지 않으려고 체고를 높였다'는 이론이 맞다는 전제를 깔고 말씀하신듯 한데요.
토종터도 먹을게 풍부하고, 먹잇감에 비해 상대 개체수가 적은 곳이면 베스터 못지않게 몸이 터져버릴듯 빵빵한 곳들 많습니다.
개체수 많은 토종터 붕어들은 그냥 배불리 못 먹어서 몸매가 길쭉하고, 평균 체장도 작을뿐입니다.
외래종터도 베스외에 블루길 등의 개체수가 엄청 많으면
먹을게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일반 토종터의 길쭉한 몸매와 전혀 다를바 없는 붕어들이 나옵니다.
붕어가 몸 체형을 마음대로 불렸다 줄였다 할수 있는 동물이라면
그 비결을 연구하고 적용해서
다이어트 하지 못해서 안달난 인간들에게 적용하면 어마어마한 돈을 벌겠지요.
붕어가 몸을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는 동물이라면 몇십년 후쯤에는
낚시바늘이 입이 박히지 않도록 입안이 온통 딱딱한 뼈로 된 붕어도 생길 것 같지 않습니까?
보통보다 체고가 높다고 베스가 못잡아 먹을거라는 발상부터가 잘못된게 아닌지.
체고가 조금 높다고 못 먹나요?
붕어를 잡아 먹는 토종 육식 물고기들(동자개, 메기, 자라, 쏘가리, 꺽지, 구굴치, 가물치 등등등등)도 엄청많은데
왜 진작부터 옆으로 세운 가오리 마냥 체고를 높이지 않았을까요?
상대가 토종육식어종이니까 매너상 정중히 잡아먹혀주려고 그랬을까요?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426268
토종붕어. 겨울에는 ‘술에 취해’ 추위를 이긴다. 환경부 한강물환경연구소 제공. 붕어는 이런 기발한 번식방법뿐 아니라 다른 기발한 생존 전략도 보유한다. 겨우내 꽁꽁 얼어붙은 저수지나 연못 바닥에서 붕어는 4~5달 동안 겨울잠을 자지 않은 상태에서 살아남는다. 얼음과 눈으로 덮인 저수지 바닥은 햇빛이 투과하지 못해 무산소 상태다. 붕어는 간에 저장한 글리코겐을 분해해 생존을 위해 에너지를 얻는데, 그때 분해 산물로 젖산 대신 알코올이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젖산에 의한 위험을 피하는 것이다.
이때 붕어의 혈중알코올농도는 100㎖당 50㎎(0.05%에 해당)이 넘는데, 사람이라면 면허정지 처분을 받는 수준이다. 붕어는 무산소 상태에서 술 빚는 효모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효소를 만들어 생존한다(▶관련 기사: 한겨울 연못 밑 붕어는 술에 기대어 생존한다).
외래종 포식자인 큰입배스에 대한 붕어의 대응책도 눈길을 끈다. 장민호 공주대 생물교육과 교수팀이 우리나라 호수와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배스가 사는 곳의 붕어는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어릴 때 빨리 자라는 생장 전략을 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배스가 있는 곳의 붕어는 길이보다 몸의 부피를 늘리는 쪽으로 성장했다. 배스의 목구멍에 쉽게 넘어가지 않도록 몸의 형태를 바꾼 영리한 전략이다. 수많은 어려운 환경 변화에도 붕어가 우리 주변에서 끈질기게 살아남는 데는 이유가 있다.
1. 섭취먹이 사람도 탄수화물 위주로 먹으면 살많이 찝니다. ㅋ
2. 대부분이 성어가 되기전에 잡혀 먹히므로 유전적으로 고속성장하는 개체(돼지붕어)만 살아남은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운동 부족
배스터는 붕어가 먹이를 쫒아 연안에 회유하는 횟수가 매우 적습니다
연안에 가봐야 먹을것도 없고 괜히 배스랑 시비만 생길 뿐이죠
때문에 배스터 붕어는 편안한 곳에서 큰 움직임 없이 아기미만 뻐끔뻐끔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합니다
먹었으면 운동(회유)을 해서 칼 로리를 소모해야 하는데
허구헌날 먹고 눕고를 반복하는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가물치가 많은 토종탕도 비슷한 현상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유전적인 요인도 함께 작용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배스 때문에 붕어가 몸집을 키운지 알고 계십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잘지내고 있는 한마을에 강자가 이사를 온다면 주민 분들은 무서워서 집밖에 나가지를 거이 못합니다 수초에 은신해 있다가 먹이 활동 할때만 슬금슬금 나갑니다
생각 해보세요 먹이 활동이 끝난후 움직이지도 않고 가만히 있으면 자연적으로 몸집은 커집니다
배스의 라이징 먹이활동이 끝나면 붕어들이 나와서 먹이활동 합니다
그래서 배스터 에서는 오전 10시 까지가 붕어 입질 시간 입니다
토종터는 오전 8시 까지 입질 시간
그렇게 해석하고 싶어서 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