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저수지에 고기가 있는지 없는지 궁금...

IP : ffb9334707a6bce 날짜 : 조회 : 2330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포항에 자생새우와 참붕어가 엄청 많은 작은 소류지에 갔었는데요 근데 보통 낚시를 하다보면 고기들이 물 위로 펄쩍 뛰는 모습을 보게 되던데 여긴 밤낚시 하는 동안 한번도 못봤거든요.. 붕애들만 3마리 잡고 입질도 잔입질만 조금 있었어요. 과연 물위로 펄쩍 뛰는 고기가 없는 곳에 대물이 있어요?? 초보라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1등! IP : e28c27336aa0da6
라이징(펄쩍뛰는거)이 없다고 대물이 없다고는 볼 수 없겠죠
붕어만 사는 곳(배스 없는 곳)에서는 2-3치급 붕애도 라이징하는거 목격했습니다

배스터에서는 붕어들이 움츠려서 그런지 라이징하는것은 전부 배스더군요

결론은 수중 상황을 밖에서만 판단하긴 좀 그렇다는 겁니다

제 판단으로는 있다에 한 표입니다... ^^
추천 0

2등! IP : 4fd538ca81e01a9
낚시가 정말로 재미있어질려면, 생각하는 낚시, 추리하는 낚시로 진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포항에 자생새우와 참붕어가 엄청 많은 소류지로 낚시를 갔더니, 대물붕어들이 물수제비 뛰듯이 뜀뛰지도 않고 작은 붕애만 몇마리 잡았다. 이곳에 큰 붕어가 있을까.]
→ 큰 씨알의 붕어가 산란을 했기 때문에 붕애가 있겠지요.
붕애(4~5치)는 1~2년 생이었을 겁니다.
낚아내신 4~5치 붕어를 산란해서 부화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조건을 갖춘 붕어는 적어도 최소 6~8치로 추정가능하겠지요.
산란했던 붕어 최소 6~8치 붕어는, 벌써 1~2년이 지났으므로 8치~준척급까지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나 바닥새우와 참붕어 서식밀도가 높은 곳은 3~4년 정도면 월척이 된다고 가정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입니다.
그러므로, 4~5치 붕애를 낚아내 그곳엔 적어도 최소 준척급 붕어 정도는 살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네요 ^^

저는 특이한 정보도 없고, 또 한번도 낚시를 해본 적 없는 곳으로 출조해서 붕어를 낚으면 일단 한 치 정도를 더 쳐줍니다.
예를 들어 7~8치 붕어를 낚았다면, 준척급이 있을 것으로,
준척급을 낚았다면 적어도 턱걸이급 월척은 살고 있을 것으로,
턱걸이급 월척을 낚았다면 또 허릿급 월척이 생존해 있는 곳으로 여깁니다.
이 계산법은 단 한번의 실망도 안긴 사실이 없습니다. ^^

다음번 출조엔 꼭 튼실한 붕어 만나시길 기원합니다. ^^
추천 0

IP : 0d14f529d13d1bf
저도 퐝이라 낑가주이소^^*

온도나 물속의 산소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노는 넘들은 입질안하는 배부른 놈들 아닐까요?

잠수함급은 소리없이...
추천 0

IP : 2ae4a656f99938d
비오기 바로 전날이나 비오는 당일날 비오기 전쯤

한번 물구경가세요!!

그럼 라이징하는 녀석들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