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 붕어 " 의 생태(펌) = 상대를 알고 접근하면 백전백승

IP : 5db28486d556196 날짜 : 조회 : 7637 본문+댓글추천 : 0

★토종붕어★ 붕어는 온수성 민물고기로서 빠르게 흐르는 물이나 계류를 좋아하지 않으며, 물빛이 적당히 흐린 평지의 못에 많이 서식하는 종이다. 따뜻한 물을 좋아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동면하는 것으로도 알려졌으나 얼음 낚시에서 볼 수 있듯이 어느 정도의 먹이활동이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지낸다고 봐야 할 것이다. ☞ 붕어의 산란과 성장 붕어는 3∼6월 사이에 수온이 17∼20°C로 상승하면 연안의 얕은 수초나 바위, 나무등걸, 버들가지, 나무뿌리 등에 점착성 알을 낳는다. 그러나 환경여건에 따라 다소 늦어지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갈수기를 지나 장마철 많은 비에 의해 물이 불어나는 시기에 산란하기도 한다. 산란은 주로 밤에 하며 아침에 끝난다. 산란할 때는 온 저수지가 철푸덕거리는 소리로 소란해진다. 암붕어 한 마리에 숫붕어 여러마리가 따라다니다가 암붕어가 산란하면 거기에 곧바로 방정하여 수정시키는데 이는 전형적인 체외수정 방법이라 하겠다. 다른 물고기와 같이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두부와 몸통에 돌기가 나타나 손으로 쥐면 꺼칠꺼칠하게 느껴진다. 붕어는 20cm짜리 크기면 약 4만 2천여 개의 알을 가지며, 30cm 급은 약 15만개 전후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2~3년 생이면 산란에 참여하는데, 붕어의 산란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지며, 같은 낚시터에서는 큰놈부터 먼저 산란을 시작한다. 산란이 시작된 낚시터에서는 십중팔구 빈바구니로 돌아서야 하므로 산란이 시작된 낚시터나 한창 산란중인 곳을 찾아갔을 경우에는 즉시 장소를 바꾸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산란 후 암붕어는 산고에 시달린 나머지 힘을 잃고 말풀이나 검정말 등의 부드러운 침수수초대의 그늘에서 몸을 거의 뉘인 채 2~3일간을 쉰다. 최소한 3~4일이 지나야 몸을 회복하고 다시 활발한 섭이활동을 시작한다. 알의 직경은 1∼1.7㎜이며 옅은 황록색을 띤다. 부화에 적당한 수온은 15∼20°C 이며 20°C 전후가 가장 좋다. 수정된 알은 15℃ 수온에서는 8~10일이면 부화하며 20℃ 수온에서 5일, 25℃ 에서는 3일이면 부화한다. 3~4월 산란기의 수온으로 보면, 부화하기까지 대략 일주일 이상 걸린다. 갓 부화된 붕어는 올챙이 모양으로 앞이 뭉툭하고 뒤쪽이 가늘며, 속이 비칠 정도로 투명하여 매우 나약해 보인다. 긴 난황(노른자)을 가지면서 수초나 장애물에 붙거나 매달려 있는데, 그 크기는 4.5㎜ 전후이다. 먹이사냥 능력이 없는 어린 치어가 일정기간(약 5-7일)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비상식량 역할을 한다. 이때는 입과 항문이 열려 있지 않다.붕어가 산란직전 식성이 왕성하고 지렁이와 같은 육식성 미끼를 선호하는 것도 이 난황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까닭이다. 우리는 그 식성을 이용, 다양한 메뉴를 준비하여 연중 최대의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우리는 흔히 1차, 2차, 3차 등 산란에 차수가 붙는 것을 알고 있다. 이것은 엄마 붕어가 배속의 알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였거나 주변 환경이 여의치 않을 때 1차로 일부를 산란하고 또 때를 기다려 2차, 3차에 걸쳐 여러 차례 산란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화 2일째 자어(仔魚)는 몸길이가 4.5∼6.0㎜로 입이 발달하며 가끔 턱을 움직인다. 3일 후에는 부레가 생기기 시작하고 4일 후에는 약 70%∼80% 정도가 물속에 떠 있게 된다. 부화 5일째 몸길이가 6∼7㎜로 자라면 먹이를 먹기 시작하며 난황은 거의 흡수되어 볼 수 없게 된다. 몸길이가 7∼8㎜에 이르면 꼬리지느러미 줄기가 발달하기 시작하며, 뒤이어 등과 뒷지느러미도 발달하기 시작한다. 약 15일이 지나면 각 지느러미의 형태를 고루 갖추게 되고 또 체형도 전형적인 붕어의 모습으로 바뀐다. ☞ 붕어의 수명 정확히 조사된 바가 없으나 붕어의 평균 수명은 자연상태에서 약 15년 정도이며 환경여건이 양호할 경우 20년을 살수도 있다고 한다. 우리가 월척이라 부르는 놈은 적어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6∼9년은 지난 개체가 아닌가 생각된다. 월척이 귀하고 가치가 있는 것은 갓 태어난 여리디 여린 붕어가 숱한 위험과 난관을 겪고 무사히 자라날 확률이 그만큼 적기 때문이다. 육식성 어종 등 각종 천적으로 부터의 공격을 피해야 하고 환경공해, 자연재해 등으로부터도 살아남아야 하며 가장 무섭고 집요한 천적, 바로 인간으로부터의 유혹에서 살아남아야 비로서 30.3 Cm이상의 월척이라는 타이틀을 거머 쥘 수 있다. 붕어의 나이는 몸 안에 있는 이석에 의해서 판단 한다고 하는데 쉬운 방법으로는 붕어의 비늘을 떼서 확대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비늘에는 나무와 같이 나이테가 있는데 가는 금과 굵은 금의 나이테가 있으며 굵은 금이 한 살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즉 굵은 금이 다섯개면 대략 여섯살쯤 된 붕어라고 할 수 있다. ☞ 붕어의 크기 붕어는 어느정도 까지 클 수 있나? 우리 나라 공식 기록으로는 지난 1988년 9월 11일 송악지에서 김병린씨가 낚은 64Cm짜리 붕어가 최대어로 기록되어 있다. 잉어처럼 1m급으로는 자라지 않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환경여건이 최적일 경우 50∼60Cm급까지 성장한다는 것이 통설이다. 단지 이렇게 큰 개체 중에는 잉어와의 잡종인 것도 섞여 있을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붕어는 태어난지 1년 후면 10∼13cm, 2년 후면 15~16cm , 3년이면 18~19cm 전후로 성장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의 가장 큰 붕어 집단은 함경북도 두만강 부근 호수인 반포산 붕어로 크기가 40Cm에 달하고 맛도 훌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반포산 붕어는 새파수가 92∼120개로 일본에서 들여 온 떡붕어와 비슷하나, 외형상으로 보아서는 다른 점이 많아 분류학적인 측면에서도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 붕어의 성비 산란기 때 잡히는 붕어를 보면 거의 다 알을 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면 숫놈 붕어는 어디로 갔는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숫놈이 암놈에 비해 식욕이 떨어지거나 조심성이 많아 쉽게 잡히지 않기 때문이 아니고 자연상태에서는 수컷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붕어가 3~4 Cm의 치어때는 수컷이 전체의 70%를 차지하지만 붕어가 성장하여 6~7Cm정도가 되면 약 40%로 감소 하고 이 비율은 붕어의 크기에 따라 반비례하여 수컷의 개체수는 점점 적어지게 된다. 이것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환경적응력이 떨어져 즉 먹이 부족, 수온 부적당, 산소 부족 등에 취약해서 폐사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어가 되면 암수 성비가 100 : 5~6정도로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붕어는 외관상의 특징으로 성을 구분하기가 몹시 힘들지만 산란기 때 만큼은 구분이 다소 용이해진다. 몸매가 약간 둥글고 배가 볼록한 암컷은 배를 누르면 엷은 녹청색의 알이 삐져나오며 수컷의 경우는 몸이 상대적으로 날씬하고 길며 둥근 맛이 없다. 산란기 때 배를 누르면 하얀 정액이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붕어의 특성 우리가 토종붕어를 귀히 여기는 또 하나의 이유는 예신에서 본신으로 이어지는 입질과 이에 따른 찌의 움직임 때문인데 이는 붕어가 먹이를 취하는 습성으로부터 비롯된다. 붕어는 바닥에 닿아 있는 먹이를 흡입하여 먹이를 취하는데 바로 이 과정이 입질로 표현되는 것이다. 특별한 방어수단이 없는 붕어의 경계심은 어느 물고기 보다 강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이 경계심만이 붕어의 유일한 생명연장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회유시에도 항상 다니던 길만을 이용하고 몸을 쉽게 숨길 수 있는 수초나 골 등 은폐물을 끼고 이동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붕어의 이러한 습성이 붕어의 생명을 단축하는 지름길이 되기도 한다. 붕어의 은신처나 회유통로 등은 붕어를 낚을 수 있는 좋은 포인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포인트를 잘 선정한 사람은 남보다 월등한 조과를 올리게 된다. 낚시대를 여러대 펴고 낚시를 해도 특정 낚시대만 자주 입질이 오는 이유나 유난히 돋보이는 조사 옆으로 자리를 옮겨 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채비를 던져넣어도 결과는 썩 좋지 않은 경우도 다 이런 이유 때문이다. 붕어는 항시 수초 등 은폐물을 거점으로 은신처를 정하고 일정한 반경 안에서만 활동하는 소극적인 습성을 갖고 있다. 붕어는 냉혈동물이지만 동면을 하지 않는데 겨울철에는 수초 더미 속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한다. 또한 붕어는 평소에는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지 않으며 상하류를 가로 질러 옮겨 다니지 않는다. 다만 산란기 때 알을 붙이기 용이한 연안 수초대로 이동하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갈수기 때 물이 줄어 들면 하류로 이동하고 장마나 홍수 등으로 물이 불어 나면 상류로 붙어 물에 잠긴 육초나 잡목등에 붙어 있는 먹이를 사냥하는 것은 환경변화에 따른 본능적인 생존전략이다. 붕어나 잉어처럼 바닥의 먹이를 빨아먹는 무리의 입술은 도톰하고 매끈하지만 그들은 먹이를 그냥 삼켜버리지 않는다. 목구멍 입구에는 아가미뼈가 변형된 인두치(목니)가 있어 어금니의 역할을 한다. ☞ 붕어의 식성 붕어는 잡식성으로 새우, 지렁이 등 동물성 먹이나 부드러운 수초와 같은 식물성 먹이를 가지리 않고 잘 먹으며, 바닥의 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질도 섭취한다. 이처럼 먹이가 다양한 만큼 붕어의 먹이에 대한 포식 욕구도 강하며, 일반 어류들의 경우 환경이 바뀌면 일정 시간 먹이를 먹지 않는데 비해 붕어는 장소를 옮겨놓아도 대부분 하루 안에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 붕어의 명칭 붕어를 지칭하는 방언은 매우 다양한데 각 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강붕어(원주), 갯붕어(강원 고성), 검둥붕어(삼척), 검은붕어(충북 옥천, 영동), 꽃붕어(전북 남원), 깅깅우(의령), 납대기(남원), 납재기(강화), 넙적붕어, 넙적이(강화), 넙적붕어(동해), 넙적이(김포), 넙죽이(남양주, 김포), 논붕어(안동), 땅붕어(양구), 땅송어(경남 함안), 때붕어(온양), 땍붕어(강원 고성), 떡잎붕어(천안), 독붕어(해남, 강진), 돌붕어(이리), 똥붕어(옥천, 김천), 먹붕어(공주), 박씨송어(밀양), 맥붕어(나주), 쌀붕어, 알붕어, 봉애, 송어(밀양, 청도, 대구), 송에(의령), 송애(현풍, 달성, 청도), 왕붕어, 은붕어(충주, 무주, 담양), 호박씨, 희나리(김해, 칠곡 등 경남북), 희나리배기, 희나리송어(창녕) 등이 그것이다. 한편 붕어의 크기에 따라 호박씨(자어 티를 갓 벗은 어린 붕어), 전차표(1치 내외), 팥잎(3치 붕어), 밤잎(3치 내외), 콩잎(4치 전후), 감잎(4~5치), 매기(20cm급), 찰찰이(6~7치, 전북 이리지방), 지국배기(8치급), 자치(30cm급), 월척(30.3cm 이상), 짚신(대형월척), 4짜(40cm 이상), 5짜(50cm 이상)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운다. 요즘은 기대치 이하의 어린 붕어를 붕아, 붕애등의 속어로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붕어의 몸에 검은 깨를 뿌린 것처럼 비늘에 점이 있는 점박이 붕어를 볼 수 있다. 이것은 메티고니무스(metagonimus)라는 흡충류의 피낭유충이 붕어의 살갗에 기생하면서 그 주위에 흑색소포(melanophore)가 모인 것이다.

1등! IP : 60ddd5f9dd00543
붕알님? 잘밧습니다..정보감사하구요...읽느라구 힘들엇네요?^^
궁금한게 잇는데요? 붕알이 먼뜻이에요?

1번...붕어의 알...
2번...남자의 거시기..ㅋㅋ

궁금하네요....저는 1번같은데요....^^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붕어알을 빠르게 발음 해보십시오. ^ ^
붕알이 되지요? 님같은 질문 마니 받아서 이젠 당연하다 십네요.
비록 퍼온 글이지만 월척사이트에 이글을 검색해보니 없느거 같아서 ...
혼자 읽기엔 아까워서 함 올려봅니다. 한가지라도 모르셧던 정보얻어 가셧음 좋겠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