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가 많아 붕어, 생우, 참붕어가 전멸하다시피 한 곳에
다시 참붕어가 보이면 베스가 소멸된 것 같기도 한데,
혹시 그런 곳을 본 적이 있나요?
우리 월님께 여쭤봅니다...
자연상태에서 베스만 사라질 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제가 늘 3치 4치랑 놀던 곳이라서 더 애착이 가는 곳이거든요...
성남 운중지(상수원보호구역)...
블루길이 엄청많았구요..
그후 배스가 유입되었씁니다..
바닥새우와 피리가 무척이나 많던곳이엇는데 모두 전멸했습니다..
그후 블루길과 배스만 있던 저수지였는데..
차츰 블루길도 없어졌구요..
그후 배스도 개체수가 현저히 줄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 새우가 바닥에 보이기 시작하고...
거기까지만 보았습니다...
워낙 작은저수지라 젤 센놈인 배스만 남았다가 지들끼리 잡아먹은듯 시포요...
그리고 개체수가 줄어들고...
LMB-V(Largemouth Bass Virus)가 플로리다 주에서 창궐한 적이 있습니다.
이 때 열성 인자를 가진 배스들은 대부분 죽었다고 보면 되구요,
살아남은 녀석들은 LMB-V에 내성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 각 주에서는 LMB-V에 대해서 대단히 경계를 하고 있습니다.
근친 교배로 인한 열성인자 유전으로 인해서 특정 생물의 개체수가 자연적으로 줄어들지는 않습니다.
열성 인자로 극복하지 못하는 재앙(?)이 왔을 때 개체수가 거의 전멸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1800년대 중반 아일랜드에서 제배되는 감자는 단 한가지 품종이었는데,
감자마름병이 돌면서 아일랜드 사람들의 주식이었던 감자가 전멸하죠.
이 결과로 100만명에 가까운 사람이 굶어죽었고, 결과적으로 800만 명이었던 아일랜드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신대륙-미국-으로 떠났지만, 미국 땅을 밟아보지도
못하고 대서양에서 죽은 사람이 절반이 넘죠...).
한국에서 LMB-V가 퍼질 수도 있겠지만, 이 바이러스는 꼭 배스에 한정되어서 퍼지는 바이러스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많은 조사님들의 바람대로 배스/블루길만 꼭 집어서 개체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는 힘들 것 같습니다.
차라리 일본처럼 유해어종 수거함을 낚시터에 별도로 마련하여 잡히는 족족 수거함에 넣어서
처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여집니다(거치대에 살림망 같은 것이 달려 있습니다).
루어 낚시를 즐기는 사람 중에 많은 사람들이 살아있는 생명을 함부로 하기 힘들어서
릴리즈 하는 경우가 많고, 잡힌 배스나 블루길을 패대기 치고 풀숲으로 던지면 그 ㅤㅆㅓㄲ는 냄새며
구더기, 파리, 쥐가 물고기를 파먹는 장면을 보는 것이 그닥 유쾌하지는 않더군요.
그렇다고 잡힌 배스나 블루길 봉다리에 싸서 집까지 들고온 다음 음식물 쓰레기 통에 넣는 방법도
얼마나 귀찮습니까!
얘기가 길어졌는데요, 제 생각으로는 배스/블루길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은 먹이 부족에 따라
어식어종끼리의 포식으로 일부 먹이 사슬이 복원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열성인자끼리의 교배로 인해 베스 블루길이 개체수가 줄어 든다고 이야기 들었습니다!!
충북 초평지에도 작년까지만 해도 보기 힘들었던...손님고기(피라미..살치...등등 ) 들이 많이 생겼더군요
베스.블루길 영원히 사라져라~~!!
영원히 사라졌으면 좋겟습니다
제발 없어지기를 바랍니다. 뉴트리아, 배스, 블르길, 귀붉은거북이....등
네 제가 잘 단속 하고 있습니다...ㅋ
어제 낚시 갔다 붉은 귀거북 2마리
사형 하고 왔슴다...
블루길이 엄청많았구요..
그후 배스가 유입되었씁니다..
바닥새우와 피리가 무척이나 많던곳이엇는데 모두 전멸했습니다..
그후 블루길과 배스만 있던 저수지였는데..
차츰 블루길도 없어졌구요..
그후 배스도 개체수가 현저히 줄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 새우가 바닥에 보이기 시작하고...
거기까지만 보았습니다...
워낙 작은저수지라 젤 센놈인 배스만 남았다가 지들끼리 잡아먹은듯 시포요...
그리고 개체수가 줄어들고...
번식한 새우를 발견한것이 한 7~8년전이니 지금은 잘 모르겠네요..
배스가 소멸된 것이 아니구요...개체수가 줄어 간다는 증거입니다...
육식동물인 배스나 황소개구리 등은 한곳에 서에 근친 교배나 자기들 끼리에 개채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압니다...
배스 불루길 이눔들은 생태게를 완전히 점멸시키는 폭군들 입니다...
어느정도냐 하면요...새우나 수서생물이 넘처나는 옹달못에 7년전에 어떤넘이 배스를 풀어 버렸죠...
3년이 지난후 부터는 물반 새우 반이던 저수지에 새우한마리 보이지 않고 수서 생물은 단 한마리도 보이지 않는 죽음에 저수지
가 되어 버렸습니다...점말로 무서운 넘들입니다...붕애는 구경을 할수가 없지요...
지금 제가 다니는 저수지에 배스가 엄청 많았는데...얼마전 부터 저수지에 새우가 보이고 붕애도 보이고 배스낚시꾼"들은 배스
손맛 보기가 어려워 진다는 말이있습니다...그런데 불루길은 아직 까지는 줄지 않고 있네요...
보이는 족족 잡아내야 겠습니다...자연적으로 완전히 소멸은 어려울것 같습니다...
행운을 기원 합니다...
또 한가지...
본토에서 블루길의 천적은 배스입니다.
블루길이 배스보다 생태계에 더 치명적이란거 잘 아시죠?
배스는 물고기나 수서생물 곤충등을 잡아먹지만, 블루길은 알부터 시작해서 치어까지 모조리 잡아 먹습니다.
붕어가 아무리 산란을 해도 알에서 깨어나지 조차 못합니다.
다시 새우 참붕어 붕애들.. 설쳐대는 그런날을 학수고대 해 봅니다.
배스루어 신병교육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였습니다..
헌데 올해 신갈지를 자주 찾으면서 참 이상한 걸 느꼈습니다..
배스루어꾼들이 아직도 참 많났는데.. 배스를 잡는건 거의 목격을 하지 못했다는겁니다..
보팅과 도보 할것없이 낫마리에 그치고마니...
물론 저는 좌대에 앉아서 그 장면들을 오래토록 봐왔죠..
거기에 하나 덧붙이자면, 신갈저수지가 배수기를 맞으면서, 이상하리만큼, 4~6치 붕어들이 자주 입질을하여 잡힌다는겁니다..
신갈지하면 거대 배스들이 많아서 붕어를 걸었다 하면 30중반이상 되는곳이기도 합니다만,
저에게 4~6치는 아주 반가운 손님이기도 했지만 참 이상한 현상이기도 했습니다..
정말로 배스들이 스스로 개체수를 조절하는것에 돌입을 했을까요??
그렇다면, 대한민국 국토에 거의 토착어종으로 삶을 정했다는 얘기인데..
오히려 저는 왠지 불길한 예감이 듭니다..
떡붕어처럼 배스를 인지하게 될까봐서요....
더 이상 먹이감이 없어서 작은 베스를 잡아 먹는 현상으로 개체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붕어가 다시 수가 늘어나는 것 같네요...
하여간 다행이네요.
다른 저수지도 그런 곳이 생긴다는 것이니까요...
다시, 붕어가 많아지길 바래봅니다...
붕어가 다시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사랑 붕애들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니 정말 반가운 소식입니다...
붕애야사랑혀~
지금은 배스 별로 없습니다.
이유는 모릅니다.
이 때 열성 인자를 가진 배스들은 대부분 죽었다고 보면 되구요,
살아남은 녀석들은 LMB-V에 내성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 각 주에서는 LMB-V에 대해서 대단히 경계를 하고 있습니다.
근친 교배로 인한 열성인자 유전으로 인해서 특정 생물의 개체수가 자연적으로 줄어들지는 않습니다.
열성 인자로 극복하지 못하는 재앙(?)이 왔을 때 개체수가 거의 전멸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1800년대 중반 아일랜드에서 제배되는 감자는 단 한가지 품종이었는데,
감자마름병이 돌면서 아일랜드 사람들의 주식이었던 감자가 전멸하죠.
이 결과로 100만명에 가까운 사람이 굶어죽었고, 결과적으로 800만 명이었던 아일랜드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신대륙-미국-으로 떠났지만, 미국 땅을 밟아보지도
못하고 대서양에서 죽은 사람이 절반이 넘죠...).
한국에서 LMB-V가 퍼질 수도 있겠지만, 이 바이러스는 꼭 배스에 한정되어서 퍼지는 바이러스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많은 조사님들의 바람대로 배스/블루길만 꼭 집어서 개체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는 힘들 것 같습니다.
차라리 일본처럼 유해어종 수거함을 낚시터에 별도로 마련하여 잡히는 족족 수거함에 넣어서
처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여집니다(거치대에 살림망 같은 것이 달려 있습니다).
루어 낚시를 즐기는 사람 중에 많은 사람들이 살아있는 생명을 함부로 하기 힘들어서
릴리즈 하는 경우가 많고, 잡힌 배스나 블루길을 패대기 치고 풀숲으로 던지면 그 ㅤㅆㅓㄲ는 냄새며
구더기, 파리, 쥐가 물고기를 파먹는 장면을 보는 것이 그닥 유쾌하지는 않더군요.
그렇다고 잡힌 배스나 블루길 봉다리에 싸서 집까지 들고온 다음 음식물 쓰레기 통에 넣는 방법도
얼마나 귀찮습니까!
얘기가 길어졌는데요, 제 생각으로는 배스/블루길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은 먹이 부족에 따라
어식어종끼리의 포식으로 일부 먹이 사슬이 복원된 것으로 보입니다.
말이 좀 이상한거 같은데 ㅋㅋ
소문에는 대학교수가 실험을 했다느니 이런말이 많이 있었는데요.
그 많은 배스가 단시일에 죽어서 물위에 허였게 떠있는것은 불가능했을텐데 그렇게 죽어 있었습니다.
그해에 붕어 엄청나게 잡혔습니다.
불쌍한 우리 토종들 ㅠㅠ
불쌍한 새우들 ㅠㅠ
배스 완전 퇴치하는 방법 연구해서 벼락부자 되실 박사님들 안계시나요? ㅠㅠ
처음 배스가 들어온 저수지는 겁없는 배스들이 무작정 사냥하고 거의 저수지 어린놈, 작은놈들의 씨를 말리죠!
그러다가 토착 어식성어종(대형어)에게 군집해서 움직이던 배스무리중 몇마리가 당합니다.
그모습을 보게된 배스들은 서서히 그 토착 어식어종(가물치, 메기, 쏘가리, 강준치, 동자개 등등)에게 겁을 먹습니다.(군집성이라
빨리 많은 숫자가 보게되는 것이죠)
똑똑한 배스는 그때의 그일을 머릿속에 기억하며 살아가죠!
물렸던 상황, 동료가 잡혀먹힌 상황, 물었던 놈을 ....
그리하야 그녀석만 보면 도망을 다니는 것입니다.
사냥보다 도망이 먼저가 되어버리는 것이고, 겁이라는 걸 알게 되는 것입니다.
배스가 왕성한 활동을 못하게 되면 당연히 근근히 살아남은 참붕어나 작은 어종들이 서서히 다시 그 숫자를 늘려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태계가 균형을 맞춘다고 생각합니다.
허나 이런 어식어종의 수가 적은 저수지(소류지! 특히 계곡지의 경우 수초의 분포가 적어 가물치가 살기 좀그렇고 //)는 배스에게
거의 장악 당한다고 보시면 맞습니다. 회복할수가 없지요.... 배스나 블루길 천국이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보면 자연하천 ,,,, 강에는 배스가 완전 장악을 못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여러 종의 다양한 어종들이 배스정도의 번식력을
억제할수 있기때문이죠!
어종이 다양하여 배스의 알부터 공격.... 메기 등기타 가물치 등등도 당연 배스가 상대가 되지 못하죠!
그래서 강계에서는 배스가 장악 할수가 없습니다.
자연적으로 죽은 블루길과 배스를 다른못에다 넣으면 감염이 되어 다 죽을수도 있겠군요....음..........
예전 월님들 생각대로 표현을 하다 쪽수에 밀려~~~~ 그만
니들 베스 가저 했는데
가저 갔으면 좋으련만...
나이먹어 늙은배스 는 자동으로 죽고
잔챙이 배스는 큰배스한테 먹히고
도태 되어가는거겠지요..
붕어가 배스 알 좀 잡아먹지......
다시 배스 개체수가 늘어 날 수 있다란 생각이 듭니다..
배스 자체의 씨를 말려야 하는 것이 더 급선무인데...
얼마전 소류지에서 어느 루어꾼이 배스 살려 주려다 한바탕 싸운 적이 있습니다.
그 루어꾼 말이 웃기더군요!!
"루어 낚시할 때가 많질 않아 살려 주었다."라고
그 장면 사진으로 찍고 난 후 다음 번 그 소류지에 찾았을 때
배스가 어슬렁거리면 당연 신고할까 합니다..
차량 번호와 배스 살려주려는 직전의 모습..
그리고,전문 루어낚시를 하시는 분들은 배스 이곳 저것에
푸는 모습을 보고 힘들지만,초보꾼들이 대부분 이런한 행위를 하시는 듯 합니다...
먹이를 참붕어로 노들이 사육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