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와 하천에서 우리 토종 물고기의 씨를 말리는 게 외래어종 베스와 블루길이다. 천적 쏘가리를 이용해 이를 퇴치하는 작전이 시작됐다. 아래는 JTBC 보도 내용이다.
물속을 어슬렁 거리며 먹잇감을 찾는 물고기떼. 수중 생태계의 무법자 큰입 배스입니다.
입속을 살펴봤더니 먹어치운 토종 물고기들이 한 가득입니다.
골칫거리는 배스뿐만이 아닙니다.
조금 전 저수지에서 잡은 외래어종 블루길입니다.
덩치는 배스보다 작지만 번식력이 워낙 강해 토속 어종의 먹이까지 먹어치웁니다.
[이규만/원주지방환경청장 : 블루길ㆍ배스 같은 외래어종은 토속어종 치어를 마구잡이로 잡아먹어서 생태계 교란 어종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동안 낚시나 작살로 잡아왔지만 개체수를 줄이는 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도한 방법이 배스와 블루길의 천적인 쏘가리와 가물치를 푸는 겁니다.
죽은 쏘가리의 배를 갈라보니 블루길 치어가 들어 있습니다.
[최재석/강원대 어류연구센터장 : 블루길은 체고가 높기 때문에 유영 속도가 느려서 쏘가리가 쉽게 포식할 수 있습니다.]
강원도 철원 토교 저수지에 1년전 쏘가리를 시범 방류한 뒤, 배스와 블루길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대신 메기와 모래무지 같은 토종 어종이 늘고 있습니다.
환경 당국은 천적을 이용한 퇴치작전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온라인 중앙일보
- © 1998 ~ 2024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그때까지붕어가살아잇을련지
근데 쏘가리풀고 저수지 낚금시킬것같네요
몸에 강력한 가시가 3개 있어서 배스가 삼킬려고 하면 입속에서 가시를 세워서
잡아먹지 못하도록 한다고 하네요.
고로 외래어종의 천적은 육식성어종인데 (주요어종 : 쏘가리, 꺽지, 가물치, 빠가사리, 메기, 자라, 강준치, 통사리, 장어)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을 세위서 지속적인 사업을 진행했으면 좋겠습니다
(배스낚시인을 위해서 낚시 가능한 곳을 지정후 그곳에서만 배스 낚시를 하도록 하는것도 방법일듯 합니다.)
포식하던 외래어종들이 점점 먹이가 줄면서 스스로가 퇴화 되어가는 과정이 아닌가 싶네요.
제가 아는 댐이나 몇몇 저수지들에서 배스가 현저히 줄어 안보이던 잡어와 새우등이 채집이 되고있고
지렁이등 생미끼를 써도 작년에 비해 올해는 배스를 한마리도 못잡아봤습니다.
떡밥낚시만 해왔던 저수지도 이젠 새우낚시가 가능할정도니 원래상태의 자연으로 돌아가는것 같아 흐뭇하네요.
외래어종이 유입될까봐 겁이 나네요
우리 토종 고기들이 외래어종 퇴치에 효과가 있다는 소식 너무 반갑습니다
알게모르게 배스를 억제하려는 노럭이 많고
그것과 동시에 작년 극심한 가뭄으로 외래종들이 많이 줄었습니다
베스는 개체수도 많아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산란을하지만 쏘가리는 정확히 때도 맞아야하고 장소도 맞아야하고 짝도 맞아야 산란을 합니다.
8월까지는 쏘가리가 산란을합니다 만삭의 몸으로 기다리지요 그 산란하고 부화한 치어는 베스,메기,가물치의 밥이됩니다..
그리고 살아난다하더라도 베스랑 맞짱뜰라면 아주 오래걸리고 그중간에 낚시꾼 작살 초크 주낙 밧데리에 거의 몰살당합니다.
베스가 사는곳엔 피래미들이나 새우가 거의 멸종당하는데 몇해가 채안걸립니다.
절대 대안은 아닙니다. 쏘가리 풀어봐야 베스의 먹이가 되고 가물치와 메기의 장난감이 될뿐입니다..
겠습니다 ㅎㅎ
암튼 방가운소식에 기분좋습니다
좋은 대안이 될지 모르겠군요...
좀더 강력한 협회의 기능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필요할때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타 어종들은 많이 서식것을 종종 목격합니다
베스터 한번씩 물빼서 확잡아 내는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땜같은 대형저수지는 어쩔수 없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