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로는 원봉돌채비는 말그대로 봉돌하나로 이루어진 채비로 일명 올림채비라고도 합니다. 붕어가 입질을 하면 거의 다 찌가 올라오는 형태로 표현이 되고, 얼레채비는 내림채비를 응용한 것으로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고 바늘이 바닥에 닿는 채비로 붕어가 입질을 하면 찌를 올리기도하고 찌를 쪽 빨고 들어가기도 하며 때로는 옆으로 끌면서 들어가는 표현 등 다양하다고 합니다.
즉 얼레와 원봉돌의 가장 큰 차이는 봉돌이 바닥에 닿느냐 닿지 않느냐 하나이고,
찌 맞춤 시 얼래는 한목 정도를 맞추지만, 원봉돌은 캐미가 수면에 약간 나올 정도로 맞춘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얼레채비의 찌는 3.2g 정도의 저부력 전용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상 제가 아는 바대로 적었습니다.
대구젊은이님 생각이 맞습니다.
요즘 유튜버 낚시꾼들이 홍보효과를 담당하고 낚시싸이트에도 많이 노출되어서 노지에서 얼레 얼레채비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데 봉돌이 뜬 내림낚시가 그런 것처럼 저수지가 많은 남부지방에서는 효과적일지도 모르나 유속이 있는 강계나 수로에서는 적용하기 한계가 있고 만능은 아니죠.
초기부터 얼레채비를 개발(?)한 분의 인터뷰나 글을 보면 내림낚시와 같은 조과를 일반 노지에서도 따라잡으는 의도로 일반 올림낚시세팅 그대로 봉돌을 띄우고 거기에 맞게 목줄을 조금만 더 길게 하여 내림낚시 흉내를 내본것이 얼레채비의 개발의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원봉돌,외봉돌을 가벼운 찌맞춤으로 지면에서 살짝 띄우고 목줄은 내림채비처럼 길지는 않고 20cm 정도 조금 더 줘서 봉돌이 뜨는 것을 어느정도 받쳐주면 그게 얼레채비죠.
노지채비 다대채비도 해야하는 특성상 봉돌무게도 아주 가볍거나 무거울 수 없기에 적당하게 3g선에서 잡은 것이고, 얼레찌도 처음에는 그냥 노지 올림찌를 쓰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얼레찌를 내놓은 것이지 꼭 얼레찌를 써야된다 이런 건 없습니다.
지금이야 어느 정도 얼레채비 체계가 잡히니 봉돌무게니 전용찌니 하고 말하는 것이지 원래부터 그런 것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도 양어장낚시등에서는 내림낚시와는 다른 바늘달고 원봉돌을 살짝 띄운 찌맞춤이 유행하기도 했고 이것이 나루예등 찌회사에서는 가벼운 표준찌맞춤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었죠.비슷한 카테고리로는 오르내림채비(올래채비),빨찌채비,옥내림채비등도 있죠.
낚시채비란게 돌고 돌기도하고 기본 원리만 알면 다 거기서 거기인데 어떻게 응용하냐에 따라서 이런이름 저런이름 붙여서 구분하고 이름을 알리고자 하는 분들이 좀 있죠. 글 쓴분의 생각대로 원봉돌 올림채비를 예민하게 띄워서 내림 흉내와 조과를 얻어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한게 얼레채비 맞습니다.
덧붙여서 처음 얼레채비를 접하시는 분들이 헷갈릴까봐 추가하자면,
얼레채비는 외바늘 써야된다 쌍바늘 쓰면 얼레채비가 아니다 이런 건 없습니다.
어느 채비도 수초낚시나 필요하면 외바늘도 쓰고 쌍바늘도 쓰고 그런 거지 필요이상으로 채비이론을 정립하려고 얼레전용찌, 외바늘 이런걸 규정할 필요는 없다는 말이죠.
최근 손맛터에서 얼레 채비에 재미를 보고있습니다.
이 시기와 같이 고수온이나 침을 많이 맞아 예민한 붕어를 대상으로는
아주 훌륭한 채비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찌올림을 좋아하는 저로써는 빨림 입질이 많은날은 몇마리 낚아내고나면
재미가 반감되어 아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올림 입질할때는 아주 잘 올려주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최고의 채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날 상황 및 낚시터 여건등 낚시를 하면서 잘 안될때...여러가지 변화를 주면서
입질을 받아내는 재미가 쏠쏠하고, 그 채비가 그 당시에 최고의 채비라고 생각합니다.
한 종류 채비에 올인하지 마시고...여러 채비의 특성을 잘 습득하셔서 상황에 맞는
낚시를 구사하시어 재미진 낚시를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제 생각에는 채비에 쇠링을 달수 있는 스냅도래를 장착한 원봉돌 로 기본으로 하고,
입질이 미약하거나 여러 상황이 안좋을때...쇠링을 감하여 얼레채비로 변환 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다니시면 좋을듯합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다른 채비가 필요할수도 있으니,여러채비에 대한 공부도 해놓으시면 도움될듯합니다.
맞습니다. 찌맞춤의 차이입니다. 별거 없습니다.
원봉돌 or 분할봉돌, 외바늘 or 쌍바늘, 목줄 길이 정도로 모든 채비는 다 응용 가능하다고 봅니다.
올리든 내리든 찌 표현을 좀 더 극대화(더 민감 또는 둔감)하기 위해,
라인 종류나 굵기, 바늘 크기 등을 선택하고, 나아가 찌의 소재, 모양, 길이까지 이어지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조과는 또.. 다른 이야기겠지요. 채비에 따라 고기가 물어주지는 않으니까요.)
이 채비는 이게 맞다 저게 맞다 어떻다 이론적으로 정의된 것을 무조건 따라가기 보다는,
여러 채비가 어떤 찌 표현이 나는지 어떨 때 챔질하면 되는지 실전을 통해서 여러 번(최소 계절별 1년 돌아봐야) 느끼고,
자신 스스로 응용, 수십 수백 번 경험하여 내 것으로 만들어,
마음에 드는 최선의 찌 표현과 좋은 조과를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겠습니다.
제 경우 처음엔 원봉돌 바닥낚시만 하다가 약20년 전부터 좀 더 예민한 채비를 고민하던 중에 분할 봉돌,사슬 채비 등을지금의 얼레채비를 만들어 사용해 왔습니다.사실 그 채비가 얼레채비라는 것도 최근에 알았습니다.
바늘만 바닥에 닿게하고 뜨개를 들어올리면 목줄이 휘지않고 찌가 떠오르게 할 정도로 가벼운 채비였습니다.
덕분에 찌를 살때마다 찌맞춤하느라 많이 힘들었지만 붕어의 예민한 입질에도 찌가 정직하게 올라올거라는 믿음이 있었기에
매번 성실하게 찌맞춤을 했었습니다.
저는 붕어를 잡는 것보다 찌올림을 너무 좋아해서 붕어낚시만 하는 사람이라 더욱 더 그랬지요.
그런데 결과는 찌가 올라오기 보다 내려가는 경우가 훨씬 많고, 양어장이 아닌 노지에서는 바닥상태와 물 흐름에 따라 참 피곤한 낚시가 되면서 그 믿음이 떨어져 결국 지금은 주로 원봉돌 바닥 채비 위주로 하고 일부만 해결사 채비, 두가지로만 운용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조사님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리저리 돌다가 결국 원봉돌 본연의 낚시로 돌아온거죠.
어떤 채비든 본인의 원하는 낚시 패턴에 따라 채비를 선택하는건 당연한 것이나,
정작 자기가 원하는 낚시 유형을 고려치 않고 유행하는 채비만 따라다니다 보면 결국 허망함만 남게될거라 생각합니다.
즉 얼레와 원봉돌의 가장 큰 차이는 봉돌이 바닥에 닿느냐 닿지 않느냐 하나이고,
찌 맞춤 시 얼래는 한목 정도를 맞추지만, 원봉돌은 캐미가 수면에 약간 나올 정도로 맞춘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얼레채비의 찌는 3.2g 정도의 저부력 전용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상 제가 아는 바대로 적었습니다.
요즘 유튜버 낚시꾼들이 홍보효과를 담당하고 낚시싸이트에도 많이 노출되어서 노지에서 얼레 얼레채비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데 봉돌이 뜬 내림낚시가 그런 것처럼 저수지가 많은 남부지방에서는 효과적일지도 모르나 유속이 있는 강계나 수로에서는 적용하기 한계가 있고 만능은 아니죠.
초기부터 얼레채비를 개발(?)한 분의 인터뷰나 글을 보면 내림낚시와 같은 조과를 일반 노지에서도 따라잡으는 의도로 일반 올림낚시세팅 그대로 봉돌을 띄우고 거기에 맞게 목줄을 조금만 더 길게 하여 내림낚시 흉내를 내본것이 얼레채비의 개발의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원봉돌,외봉돌을 가벼운 찌맞춤으로 지면에서 살짝 띄우고 목줄은 내림채비처럼 길지는 않고 20cm 정도 조금 더 줘서 봉돌이 뜨는 것을 어느정도 받쳐주면 그게 얼레채비죠.
노지채비 다대채비도 해야하는 특성상 봉돌무게도 아주 가볍거나 무거울 수 없기에 적당하게 3g선에서 잡은 것이고, 얼레찌도 처음에는 그냥 노지 올림찌를 쓰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얼레찌를 내놓은 것이지 꼭 얼레찌를 써야된다 이런 건 없습니다.
지금이야 어느 정도 얼레채비 체계가 잡히니 봉돌무게니 전용찌니 하고 말하는 것이지 원래부터 그런 것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도 양어장낚시등에서는 내림낚시와는 다른 바늘달고 원봉돌을 살짝 띄운 찌맞춤이 유행하기도 했고 이것이 나루예등 찌회사에서는 가벼운 표준찌맞춤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었죠.비슷한 카테고리로는 오르내림채비(올래채비),빨찌채비,옥내림채비등도 있죠.
낚시채비란게 돌고 돌기도하고 기본 원리만 알면 다 거기서 거기인데 어떻게 응용하냐에 따라서 이런이름 저런이름 붙여서 구분하고 이름을 알리고자 하는 분들이 좀 있죠. 글 쓴분의 생각대로 원봉돌 올림채비를 예민하게 띄워서 내림 흉내와 조과를 얻어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한게 얼레채비 맞습니다.
얼레채비는 외바늘 써야된다 쌍바늘 쓰면 얼레채비가 아니다 이런 건 없습니다.
어느 채비도 수초낚시나 필요하면 외바늘도 쓰고 쌍바늘도 쓰고 그런 거지 필요이상으로 채비이론을 정립하려고 얼레전용찌, 외바늘 이런걸 규정할 필요는 없다는 말이죠.
이 시기와 같이 고수온이나 침을 많이 맞아 예민한 붕어를 대상으로는
아주 훌륭한 채비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찌올림을 좋아하는 저로써는 빨림 입질이 많은날은 몇마리 낚아내고나면
재미가 반감되어 아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올림 입질할때는 아주 잘 올려주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최고의 채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날 상황 및 낚시터 여건등 낚시를 하면서 잘 안될때...여러가지 변화를 주면서
입질을 받아내는 재미가 쏠쏠하고, 그 채비가 그 당시에 최고의 채비라고 생각합니다.
한 종류 채비에 올인하지 마시고...여러 채비의 특성을 잘 습득하셔서 상황에 맞는
낚시를 구사하시어 재미진 낚시를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제 생각에는 채비에 쇠링을 달수 있는 스냅도래를 장착한 원봉돌 로 기본으로 하고,
입질이 미약하거나 여러 상황이 안좋을때...쇠링을 감하여 얼레채비로 변환 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다니시면 좋을듯합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다른 채비가 필요할수도 있으니,여러채비에 대한 공부도 해놓으시면 도움될듯합니다.
질문내용과 맞지않는 답변이었습니다,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은 윗분께서 잘 설명해주셔서...
즐낚하셔요!~~~
그 무겁다는 '풍덩' 원봉돌 채비 조차도
현장 상황이나 채비 조합에 따라,
본봉돌이 떠오른 채로 낚시하기도 하고,
아예 바늘까지 떠올라 둥실둥실 떠 다니기도 하죠.
채비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면,
낚시하면서 그런 상황에서 낚시하고 있는 지 인식하지 못하고
당연히, 항상, 본봉돌이 바닥을 짚고 있는 상황이라고 꿀떡 같이 믿고, 낚시하는 경우고 많죠.
이해할 수 없는 찌놀림, 찌는 꼼짝도 하지 않은 것 같은 데 미끼가 털리는 상황 등등...
정상적인 구사에서는 생기지 않는 상황들이 꽤나 발생하죠.
단순히 찌맞춤 차이 뿐이지 다를건 없습니다.
얼레도 조금 무겁게하면 원봉돌 바닥낚시이고
원봉돌 바닥을 조금 가볍게 맞추면 얼레입니다.
요즘 나오는 채비는 홍보해서 판매의 목적으로 나오는게 많습니다.
처음엔 채비 좋다고 홍보하고 사람들이 호기심이 생기게 되면
그다음이 나오는게 전용찌, 전용원줄, 전용봉돌... 등등등
결국은 판매의 목적입니다.
제가 머리가 나쁜 건지는 잘 모르겠는데
같아 보이는데 다른 채비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하다하다 안되니 나중엔 찌가 다르다... 전용찌를 써야한다... 이렇게 말할땐
할말이 없어집니다.
원봉돌 or 분할봉돌, 외바늘 or 쌍바늘, 목줄 길이 정도로 모든 채비는 다 응용 가능하다고 봅니다.
올리든 내리든 찌 표현을 좀 더 극대화(더 민감 또는 둔감)하기 위해,
라인 종류나 굵기, 바늘 크기 등을 선택하고, 나아가 찌의 소재, 모양, 길이까지 이어지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조과는 또.. 다른 이야기겠지요. 채비에 따라 고기가 물어주지는 않으니까요.)
이 채비는 이게 맞다 저게 맞다 어떻다 이론적으로 정의된 것을 무조건 따라가기 보다는,
여러 채비가 어떤 찌 표현이 나는지 어떨 때 챔질하면 되는지 실전을 통해서 여러 번(최소 계절별 1년 돌아봐야) 느끼고,
자신 스스로 응용, 수십 수백 번 경험하여 내 것으로 만들어,
마음에 드는 최선의 찌 표현과 좋은 조과를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겠습니다.
허나, 많은 조사님들께서 원봉돌로 다시 돌아오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겠지요? ^^
바늘만 바닥에 닿게하고 뜨개를 들어올리면 목줄이 휘지않고 찌가 떠오르게 할 정도로 가벼운 채비였습니다.
덕분에 찌를 살때마다 찌맞춤하느라 많이 힘들었지만 붕어의 예민한 입질에도 찌가 정직하게 올라올거라는 믿음이 있었기에
매번 성실하게 찌맞춤을 했었습니다.
저는 붕어를 잡는 것보다 찌올림을 너무 좋아해서 붕어낚시만 하는 사람이라 더욱 더 그랬지요.
그런데 결과는 찌가 올라오기 보다 내려가는 경우가 훨씬 많고, 양어장이 아닌 노지에서는 바닥상태와 물 흐름에 따라 참 피곤한 낚시가 되면서 그 믿음이 떨어져 결국 지금은 주로 원봉돌 바닥 채비 위주로 하고 일부만 해결사 채비, 두가지로만 운용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조사님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리저리 돌다가 결국 원봉돌 본연의 낚시로 돌아온거죠.
어떤 채비든 본인의 원하는 낚시 패턴에 따라 채비를 선택하는건 당연한 것이나,
정작 자기가 원하는 낚시 유형을 고려치 않고 유행하는 채비만 따라다니다 보면 결국 허망함만 남게될거라 생각합니다.
분할봉돌 ,사슬채비 등을 "거쳐" 지금의 얼레채비...
"거쳐"가 빠져서 수정합니다.^^
내림낚시의 변형이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면 옥내림 외바늘 낚시 차이가 없죠.
그냥 크게 2가지 보시면 됩니다. 내림낚시와 올림낚시.
얼레채비도 있고, 반얼레채비도 있고 하던데, 내용을 살펴 보니
얼레채비는 외봉돌로 가볍게 찌 맞춤해서 봉돌 띄우고, 20cm 정도의 약간 긴 목줄 쓰는 내림채비인 듯 하고
반얼레채비는 거기서 조금 무겁게 찌맞춤해서 봉돌을 바닥에 살짝 닿게하는 올림채비인 듯 합니다.
얼레채비는 내림기반이기는 하지만, 목줄이 내림낚시에 쓰는 거보다 짧으니, 찌올림도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외봉돌채비이면서 뜬봉돌 채비인 것 같습니다.
원봉돌 바닥채비가 젤 편하고 올림깔끔 했습니다
32대이하는 고리추 3호
34~40대는 고리추4호
42~48대까지 고리추5호
저만의 공식이 된지 오래입니다
답은 현장 여건에 있다 하겠습니다
현장에 맞는 응용력은 각자의 몫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