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 그리고 먹이 습성
붕어는 미끼를 한번에 먹는게 아니라 입에 넣었다가 밷었다가 여러번 반복 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찌맞춤이 무거우면 이물감 때문에 미끼를 밷어 버린다는 어느정도는 맞지만 저는 그렇지 않는다고 생각 합니다
떡밥낚시 - 찌맞춤 가볍게 하며 쌍바늘 사용을 기본 으로 하는 낚시
대물낚시 - 찌맞춤 무겁거나 수평 정도 맞춤 으로 외바늘 사용 현제는 가볍게 찌맞춤 하시는 분들이 늘어남
붕어는 입에 넣었다 밷었다 습성이 있듯이 무거운 찌맞춤 일때는 아무리 붕어가 입에 미끼를 넣어도 봉돌이 움직이지 않으나 찌에 표현이 안될뿐 본신은 똑같습니다
반면 가벼운 찌맞춤 일때는 미끼를 입에 넣으면 찌맞춤이 가벼우므로 즉각 찌에 반응이 올것 입니다
이것 또한 본신은 똑같습니다
목줄이 길면 사각지대가 커진다
틀린 말입니다
찌맞춤이 무거우면 붕어는 많은 힘으로 봉돌을 들어야 하니 많이 부상 하므로 사각지대가 커지고
찌맞춤이 가벼우면 적은 힘으로 봉돌을 들어야 하니 많이 부상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각지대가 적어 지는 겁니다
간혹 찌를 한마디 두마디 올라오다가 내려 가는건 예신일때 많이 나타 납니다
붕어의 습성 때문 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미끼를 입에 넣었다가 밷었다가 하는 습성
그러나 본신 일때는 돌맹 이라도 붕어는 찌를올립니다
채비 똑같이 하고 무거운 가벼운 찌맞춤 미끼는 떡밥 사용시
가벼운 찌맞춤 일때는 사각대가 적어서 찌가 조금 올라와도 후킹이 되고 이건 미끼를 밷어내기 전에 찌에 반응이 와서 우리가 챔질 하는 것이고
무거운 찌맞춤 일때는 사각지대가 커져서 미끼를 밷어낸후 챔질을 하니 헛챔질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송귀섭 FTV위원님 께서도 찌맞춤이 무겁던 가볍던 입질 하는건 똑같다고 하셨습니다
단지 붕어가 미끼를 입에 넣었다 밷었다 하는 먹이습성 그리고 목줄 사각지대
무거운 찌맞춤은 사각대가 커지고
가벼운 찌맞춤은 사각지대가 적어진다
의문이 드시는 분들은 무거운 물체에 줄을 달고 들어 보시면 높게 들어야 물체가 들릴 것이고
가벼운 물체에 줄을 매달고 들어 보시면 높게 들지 않아도 물체가 들린다는걸 알것 입니다
한마디로 본신이 올때는 무거운 찌맞춤 이든 가벼운 찌맞춤 이든 차이 없다
단 예신이 올때 붕어가 미끼를 입에 넣었다 밷었다 먹이습성 때문 이다
그렇듯 직감에따른 채비변형 대비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흔히들 `목줄이 길거나 또는 찌맞춤이 무거워지면 사각지대 커진다 ` 라고들 말합니다.
붕어의 입장으로 생각해봅니다.
사각지대는 붕어가 간보는 시간(넣었다 밷었다의 과정) 충분히 주어 편안히 본신으로 이어지는
구간이라 생각한다면 되려 사각지대를 주는 것 또한 좋다.
개성있는 붕어는 성격또한 개별차가 너무나 많다.
넣었다 밷었다 하는 붕어
단번에 빨아버리는 붕어
냄새만 맞고 가는 붕어
<입보다 미끼가 커서 키스만 하고 본신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붕어> ----> ***핵심포인트**
즉 수면 아래를 알 수는 없으나 물위의 찌의 표현으로 붕어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행위일뿐이다.
무겁든 가볍든 나누든 쪼개든 풍덩이든 먹이를 탐하고자 하는 붕어는 그날은 어떤형태로든 문다.
나아가 물수 있는 환경을 재공하는것이 의뜸이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목줄이 길게해서(사각지대를충분히주어) 큰 미끼를 꿰어 작은붕어는 큰 미끼를 포기하고 대물의 간보는 시간을 주어 입질을 기다린다.
목줄을 짧게해서 작은 미끼를 달아 첫번째 흡입에 챔질 하여 낚아내거나 예민한 붕어 또는 작은 다양한 미끼로 씨알을 선별한다.
결론적으로
채비의 방법은 사람의 입장이고
미끼는 붕어의 입장이니 미끼를 더욱 중요시 하고 거기에 따른 채비를 하는게 이롭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ㅎ
정답이 있겠나요.. 다만 확실한건 붕어의 조과는 정보력이다. 나오는 곳에서 나온다 늘 그렇게 생각합니다.
저는
''사각지대= 대상어가 먹이 섭취시 찌에 표현되지 않거나, 방해 되는 구간 및 형태''
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너무 두꺼운 원줄, 원줄사선, 긴 목줄길이, 과하게 무거운 찌맞춤, 너무 둔한형태의 찌등....
''그럼 사각지대는 무조건 낚시에 해로운가?''
에는 조사님들마다 생각의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앞서 정의한 '' 찌에 표현되지 않는~'' 부분이 대상어에게 있어서는 이물감 없는 구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옥수수 긴목줄(20~25정도)로 많은 조과를 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때에 따라서 사각지대도 필요하다'' 라고 생각합니다.
낚린이님 말씀도 전체적으론 공감하나, 몇가지 견해가 다름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대물낚시를 좋아하시는 건 이해합니다만,
대물낚시의 구분이 너무 일방적입니다.
(저를 포함한 낚시인이 공감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사실 떡밥으로 대물을 노리고 낚시하시 분 제주변에 많습니다. ^^;;
두번째,
''긴목줄이 사각지대가 커진다''에 ''틀렸다''는 말씀에는 저와 다른 견해라고 말씀드립니다.
좋은 시기 덩어리 손맛 바랍니다.
이물감을 안느끼는 사각지대 = 내 입속에 머리카락 들어있어도 이물감납니다.. 하물며 낚시는 머리카락보다 굵은 줄 바늘도 있지요..
어짜피 목줄이 연결되어 있어 의미 없다.. 손으로 입속에 퍼넣는 사람도 느껴지는데 손도 없이 입으로만 먹는 고기의 입의 예민도는 훨씬 더 좋을것같네요.
여러번 뱃었다 먹었다 = 미끼 크기와 고기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요,.. 바늘과 줄이 없이 순수 미끼만이라면 큰붕어는 한방에 꿀꺽일것이고 적은 것들은 목구멍에 안넘어가니 뱃었다 먹었다 하겠지요.. 다만낚시미끼라는 전재에는 위에 내용처럼 이물질이 있으니 미끼가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는 이상 먹었다 뱃었다 하겠지요
결국 찌올림에 챔질한다는 것은 여러번수등에 있어 먹었다 뱃는 시간을 얼마나 길게 가져가냐.. 역으로 흡입후 살짝이라도 걸려 뱃어내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짐등 변수로 챔질할수 있는 시간을 어마나 더 벌수 있느냐가 관건일 것같고..
사실 경험상 특별한 변수가 없는한 가벼운 채비에 가벼운 찌마춤이 훨씬 유리한건 사실입니다.. 추측으로는 정지마찰계수.?? 여튼 가벼운게 적은힘으로도 쉽게 움직이니..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거운것보다는 부드러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별한 변수람은 잡어 치어 물의 흐름 수초등 변수에 의해 노지에서는 타협점을 찾는것이구요..
결국은 이타협점을 잘 찾아서 최대한 예민한 채비로 하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결론을짓기에는 변수가많은게 낚시입니다
산불헬기 물뜨는도중 찌좀올라와 눞고
35..
종일말뚝인데 철수길에 대걷으니
32걸려있고..
본인이 전에 무슨 말을 했는지는 하나도 기억 안남
또 멘붕^^
내가한 체비을믿고..
기본에 충실합시다 ...
본인 생각 입니다 정신건강에 좋아요~~^^
붕어들이 암놈이 대부분이라 그런지 개성들도 참으로 다양하고 성질머리들도 얼마나 다양한지..
입에 넣었다 뱉었다 간보다 삼키고 들어올리는 붕어만 있다면 얼마나 재밌기도하고 또한 재미없기도 할런지..
게다가 이 붕어란 놈들이 머리가 나쁘고 단순한줄만 알았더니 갸들도 손타거나 환경이 변화되면 취이하는 습성도 그에 맞춰 우리네 낚시꾼들을 머리쓰게 만들죠.
기본적으로는 낚시터에 따라, 바닥 상태에 따라, 시기에 따라, 수온에 따라, 개체수에 따라, 미끼에 따라, 배스 서식 유무에따라 기타 등등등등등등. 이 얼마나 변화 무쌍한 취이 습성의 변화 요인이 많을까요.
언제 어느 낚시터를 가던 큰녀석을, 많이 낚고자 한다면 어차피 본신은 똑같이 표현된다..라는 생각은 틀린것 같습니다. 그런 낚시터가 존재하기는 할 뿐.
때론 무겁게, 때론 가볍게, 때론 길게, 때론 짧게 쓰는것은 달사냥님 말씀대로 물밖에 있는 우리네 낚시꾼들의 경험론적 선택일뿐입니다.
결론은 무거운 찌맞춤 or 가벼운 찌맞춤 상황별 자기 경험치에서 대응하는게 맞다고 보고 취향차이로 보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