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시판 검색중
중병아리 사료를 쪄서 쓰면
최고라는 글이 있던데요.....
다른 미끼는 없는가요???
중병아리 사료를 찐다는것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냄비에 넣고 물 조금넣고 끓이면 되는건가요?
요즘 딸기 글루텐과 중병아리사료 중 집어력은 어느것이 더 좋은가요?
동일량 사용시....
----------------------------------------
옥내림 낚시라고 검색해보았는데요.
중층낚시와 비슷한것 같은데요.
조과면에서 중층이 더 좋지 않은가요? 채비2개를 옥내림 옥내림들 하셔서 바꿀려다가 차라리 중층낚시로 바로 넘어가버리는것이
더 좋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중층낚시에서 바늘만 바닥으로 내려주면 옥내림낚시와 비슷하지 않은가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지금 시점에서 종류도 다양하고 성능도 우수한 떡밥들이 많기에 굿이 쓰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수질 오염에도 한몫하구요~ ^^
전설의 추천미끼라 하시면 뭐니 뭐니 해도 어디서나 먹히는 지롱이~ ^^ 아닐까요~
다른 전설의 미끼는 다음 월님에게 패스~ ^^
이유는 닭사료는 오염도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떡밥종류보다 상당히 심하다고 들었습니다.--
전에 강잉어낚시용으로 사용했던분들 있었는데 그분들도 요새는 사용안하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을 아는 부분입니다.====???저수지 ,소류지 둥벙?빨리 오염시키는 방법중의 하나가 될수도 있지요???--
최근엔 그런 방법은 하지 않는것으로 압니다.
다양한 집어용 떡밥이 나왔고, 소량의 겉보리 등을 사용하며,
자연을 보호(환경오염)의 의식이 향상된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병아리시 사료에 밀가루 조금 넣고 둥글둥글 말아서 바늘 끼운 다음 검은봉지에 싸서 햇빛에 살짝 놓으면 시큼시큼한 냄새가 날때 사용하면 잡어가 않덤비고 나오면 백발백중 잉어라고 하시더군요.... 모든 잉어 릴꾼들이 하는 말이고요... 예전에 댐에가서 보면 이렇게들 많이들 하셧죠... 허나 요즘은 그냥 떡밥을 압축기로 성형해서 쓰시더군요... 요즘 병아리 사료 푸대 들고 다니면서 낚시하시는 분들은 거의 못본거 같습니다.. 예전에는 떡밥을 구하기도 힘들고 가격이 사료보다 비쌋다고 하네요.. 지금도 떡밥 가격이 더 비싼건 마찬가지 이지만 구하기는 오히려 병아리사료보다 쉬울거 같습니다..
절대로 병아리 사료가 떡밥보다 잘 잡혀서 쓰는 건 아닙니다.. 작은 동물 사료 일수록 사료 자체내에 항생제도 첨가 되고, 사료는 자체가 물속에서 분해되가 만든게 아니기 때문에 수질오염을 많이 시킵니다...
닭을넣어 던져 놓는다든지 하지만 그냥 웃고맙니다 좋은 집어제와 미끼가
많은데 수질오염까지 시키면서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자연친화적인 미끼가 초절정 미끼가 아닐까요.
수질오염까지해서 그렇게 까지..
민물생선이 혹여 많이필요하시다면 그물이 더 깨끗할것같네요..구지 병아리사료나 소똥 그리고 오징어부폐한것등등... 여러가지 전설에집어제들이 있지만 지금구지그런걸쓰실필요까지야..
그리고 님은 저같이 시간이 없고 낚시는 하고싶고 그래서 빨리 손맛보고찌맛보고 싶으신분같은데.. 중층낚시도 배워보세요.. 아마 다시 바닥낚시로 돌아올것입니다. 저도5년전에 아주잠깐 6개월가량 중층에빠져서 열심히 다녔던한사람입니다. 그런데. 역시 바닥낚시 찌맛이 제일 죽이더라고요.. 그래도 확실히 손맛은 단시간네에 아주 많이 볼수있습니다...
항상 안출하시고 즐거운 낚시하시길...
소양강 / 파라호 에서 한참 잉어 때리러 다닐때 사용했던 미끼입니다.
어디서 잘 못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닐을 10대~ 20대 꼽고 낚시를 하다보니 미끼값이 부담스러워서 사용한것 뿐이지..
절대로 초절정미끼는 아닙니다.
당시에 잉어밥도 있었지만.. 장박 때리러 가면 턱도 없이 부족했거든요!!
그때 떡밥뭉치면서 사이다 사서 같이 넣어주시고 하고.... 큰 맘 먹고 박카스 넣으면 더 잘 잡힌다고 해서 잉순이 피로회복하라고
박카스도 넣어줬던 기억이 새록새록합니다.
사실 그냥 시중에 파는 떡밥이 더 잘 먹혔습니다 ㅋㅋ
그리고 이후에 수질오염의 주범도 되고 양이 많은 잉어용 떡밥들이 많이 나와서 안쓰고 있는 미끼입니다.
전설은 전설일뿐~
제가 어릴적에 아카시아 나무에 이백원짜리 조립식 낚시줄에 찌를 연결하고
부엌 밥통에서 밥알 반주걱 라면봉지에 싸서 어머니 몰래 동네 저수지에서 작은바늘에 똘똘한 밥알을 끼워 낚시를 했었습니다..
지금생각해보면 저에겐 그 밥알이 전설의 미끼가 아니었나 싶네요..ㅎㅎ
사실 지금보다 그때 고기를 더 많이 잡은거 같습니다... ^^
생들꺠를 곱게 간것+약간 거칠게 간 미숫가루(보리가루)+콩가루
위 세가지를 늘 쓰셨는데
신선도 유지를 위해 소량만 그때그떄 장만한걸로 기억 합니다
지금도 그 고소한 향내가 잊혀지질 않네요...
저에겐 전설의 미끼라 할수 있죠..
그 동안 전설의 미끼를 여럿 보았는데
엽기물로는
날아다닌는 제비를 말려 빻은것- 전설에 의하면 이무기가 물가의 제비를 즐겨 드신다함
*참고적으로 제비표떡밥과는 무관함
개기름과 어분의 혼합- 전설에 의하면 10만평 규모 정도는 제방고기가 상류까지 냄새에 취해 올라 온다함..
썩은 노른자+어분 -팰렛화가 되어 잡고기 극복에 좋고 9치 이상의 선별력 단,집어 면적은 소류지급에 해당
이 방법은 실효성이 좋고 구하기도 쉬움 ㅎㅎ
그 밖에
유독 새우깡 과자에 입질이 닿던곳,힌설탕은 안되고 유독 노란 설탕만 먹히는곳.
박카스는 안되고 구론산이 잘되던곳,특정 품종의 한 감자종자만 먹히던곳 등등...
덕분에 잠시 예전 향수에 빠져 봅니다...
초평지 상류에서 어린아이들이 먹던 쵸리퐁이라는 과자에 월이 대여섯수 나왔던,,,ㅎㅎㅎ
다 지난 추억이네요,,,
작년 여름...
나만의 소류지로 밤낚시를 갈려고 준비하고 있었는데, 마눌님이 하도 따라간다고 해서 함께 갔지요..
저는 새우낚시를 하고, 집사람은 20대 한대에 지렁이를 달아주었지요..
두세번 지렁이를 달아주고 나니까 귀찮아서 걍 죠리퐁한번 달아보라고 했더니 아주 열심히 하더라구요..
그날저녁 집사람이 죠리퐁으로 사고쳤습니다...
밤새 38, 32, 30.5이렇게 월 세마리를...헉!!
그 후로.....
새우낚시 하다가 입질없으면 남몰래 죠리퐁달곤 합니다...
비슷한게 아니고 같습니다.
다만 찌를 부력이 좀더 나가는 내림찌를 쓴다 뿐이고.. 글르텐보다는 옥수수를
사용한다는 거지요.
사실 중층찌 써서 옥내림 하는게 입질이 훨씬 부드럽습니다.
바닥상태에 따라 띄우기도 좋고..
다만 중층용 찌가 꼴같지않게 옥내림으로 쓰는 찌보다 가격이 비싸서 ..
옥내림찌도 비싼넘은 이해할수가 없을 정도로 비싸지요
제경우는 싸구려 중국산 내림찌를 찌톱 한마디정도 잘라내고 케미꽃이 끼워
사용 합니다.
시중의 옥내림 찌 보다도 입질 표현이 훨씬 간결하고 확실 합니다.
항생제 들어있어서 수질 오염 시킵니다.
전설의 미끼는 보리밥풀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참기름 조금 넣어서 자전거 타고 수성못이나 지산못에 낚시 다니곤 했죠
제비표 떡밥 빨간색도 많이 썼던거 같네요~
수성못에 반두들고 한 번 훑으면 새우가 바글바글 했었지요!!!
지역마다... 저수지 마다... 잘먹는 미끼가 따로 있다는건 인정합니다.^^
그리고예전에울집에어른께서쓰시던........붕애명약 구데기
효과가좋다는............ㅎㅎ
저도 죠리퐁에 웃고 갑니다.. 거참.. 희안하네..
짜개 같이 들어 가면 둥둥 뜨지 않을까요...ㅋㅋ 죠리퐁~~ ㅋㅋ
지렁이를 잘 쓰는 사람이 실전적인 고수라고 생각합니다.
물속의 모든 고기들이 좋아하고 작은놈이나 큰놈이나 다들 좋아하니 최고의 미끼죠
이제것 잡은 붕어중에 젤로 크네요...
아마 제겐 빈바늘이 전설의 미끼인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