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경우엔 낚시하다보면 두바늘 다 슬로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간 흐름이 생길땐 의도적으로 주가도 합니다
두바늘이 슬로프지게되면 입질 폭이 약간 줄어들게되고
입질도 빨기만 하기보단 오르락내리락하는 입질이 들어오기도 합니다
입질 속도 자체는 느릿하게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질빈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못느꼈습니다
어차피 쌍걸이를 노리는 낚시가 아니기 때문에
두바늘 슬로프로 마릿수에서 유리함을 찾지는 않는 편이고
짝밥 사용시엔 붕어가 원하는 미끼가 윗바늘에 있는 경우는
슬로프지지 않아도 윗바늘 물고 나옵니다
가능은 하겠지만 참으로 어렵고 정확성 없는
낚시가 될꺼 같네요
아마도 윗바늘도 약간 슬로프가 지겟죠..
조과는 한바늘 슬로프 진거나 두바늘 슬로프 진거나 별반 차이가 없을거 같네요.
바닥에 삭은 수초나 말풀등...지저분한 상황이면 살짝떠있는 윗바늘도 위력을 발위합니다
아마도 바닥상황에 따라서 두바늘의 슬로프를 조절하셔야 할것 같네요
저수지 환경과 바닥 여건을 고려해야 되겠지요.
일반 절확한 찌맞춤에 그 목수보다 배이상 내 놓는다면 두 바늘이 슬로프가 됩니다.
조과는 상황에 따라 틀리지만 일반적으로 비슷하고 보면 됩니다.
좋은시간되시길 ~~~~
슬로프를주더라도 수심체크가정확하지않으면
봉돌이바닥에닿을수도있습니다.
입질도그냥찌가사라진다던지,하는당황스런형
태들이많습니다.
떡밥내림낚시가아니라면,
그다지추천드릴방법이 아니라고 봅니다.
슬로프져있는 아래바늘이 주로미끼역할을
많이하지만, 바닥상황에따라서 윗바늘에맛
조과가있는경우도많습니다.
바닥상황이 가장큰 변수이지만 바람에 의한 대류도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약간 흐름이 생길땐 의도적으로 주가도 합니다
두바늘이 슬로프지게되면 입질 폭이 약간 줄어들게되고
입질도 빨기만 하기보단 오르락내리락하는 입질이 들어오기도 합니다
입질 속도 자체는 느릿하게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질빈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못느꼈습니다
어차피 쌍걸이를 노리는 낚시가 아니기 때문에
두바늘 슬로프로 마릿수에서 유리함을 찾지는 않는 편이고
짝밥 사용시엔 붕어가 원하는 미끼가 윗바늘에 있는 경우는
슬로프지지 않아도 윗바늘 물고 나옵니다
배우고 갑니다
고수님들 감사드림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