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님들 본격적인 시즌이 도래했네요
올해도 월님들 원하시는 튼실한 녀석들
만나시길 기원합니다^^
어제 낚시를 다녀왔습니다
계곡형 저수지구요
지금 만수라 최상류도 수심이 1m70에서 2m
정도 나옵니다
여긴 떡붕어 희나리가 많아서
중층 내림하시는분도 많습니다
보통 상류에서는 일반 바닥이나 옥내림낚시
중하류권은 내림 중층 많이하는데요
중류권 내림하시는분들은 간간히 입질을
받는데 상류권에서는 피래미말곤 입질도
없더군요 그나마 잉어가 첨벙첨벙 뛸뿐^^
밤이되어 내림중층하시던분들 철수하시고
상류에 바닥낚시만 하시던분들만 남았는데
저포함 전부 올꽝이였네요 ㅜㅜ
지렁이 글루텐 다써보 입질이 ㅜㅜ
여기서 질문드릴께요
내림 중층같이 하는 저수지에서는
일반 바닥낚시가 안되는 편인지
여쭈어 보고 싶네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제외하고는
채비의 차이일뿐
상관없어요~!
1.그때그때...
2.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뿐...
3.다음...
4.시간에 ...
붕순이 마음ㅎ
중층으로는 몇마리 잡곤 했습니다
왜그런지 너무 궁금했는데
아직도 모르쇠네요
바닥은조과별로였습니다
보시면 됩니다.
토종하고 생태가 틀림니다.
토종은바닥.떡은 중상층.희나리는 바.중층
입질 수심층이 틀립니다.
토종도 중층에서 떡밥질 계속하면 올라와 입질합니다. 정답은 아닐수도 있지만 제 경험상 그래요.
예전 유료터 다닐때 토종.떡.희나리.잉어.향어
다있는 곳에서 했습니다.
바닥.내림.중층채비 다 해봤지만
내림.중층에서 입질이 몇 배나 좋았습니다.
저수지도 내림.중층하는 조사가 많으면
바닥입질 보기가 힘들꺼에요.
약간 위쪽으로 이동 할것같은데요
태양 의 따뜻함이 물속으로 전달되려면
깊은곳은 전달되기 어려우니
반대로 더울때는 깊은곳에 붕어 있지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