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나리로 보여집니다.
비늘이 거칠게 보이고 뒷지느러미가 많이 상한것을 보면 거의 희나리에 가까운데...
거기에 붉은 기가 도는것을 희나리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미끼는 무엇을 썼는지 궁금합니다.
떡밥이거나 글루텐 계열 아닌가요?
혹 동물성 미끼에 올라왔다면...?생각을 많이 해봐야될것 같군요.
암튼 축하드립니다.
흔하게 금강줄기에서 나오는 혹부리 붕어입니다.
탑정........혹부리를 본적이 없엇는데 어떻게 유입되엇는지 모르겟지만 분명코 토종입니다.
일반 토종에 비해 체구가 대단합니다.
턱거리만되도 4짜급과 맞먹는 빵을 지녓지요.
혹부리의 특징이라면 매끈하게 빠진 지느러미와는 다르게 갈가리 찢어져있고 꼬리가 시작하는 부위가 두껍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붉은 색을 띠는데 제가 보기엔 처음 잡앗을때는 그렇지 않앗을거라 생각합니다.
상처를 입어 붉을빛을 띤다면 몰라도 혹부리.....토종의 누런빛은 없고 거무틱틱한 거친 비닐도 특징에 하나입니다.
아마도 금강에서 낚시를 즐겨하시는 분이나 그곳 낚시점을 운영하시는 분께서라면 쉽사리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본 혹부리대물.......축하합니다.
외래종이 여럿 유입되다 보니 토종을 분류함이 좀 그렇네요.
한때는 토종을 두 종류(계곡형)로 선별하였지만 이시점에 와서 논하는게....
저는 토종의 개념이 식은지라 오래라서 오해마시구요.
해서 짜장과 여럿종료를 같이 공유해야 할 그럴 실정이라면 경상도 일부였던 토종희나리는 구별안되므로
떡붕어를 제외한 유사계통을 희나리로 봅니다.
견해로는 여기서 논하는(?) 토종이라 절대 볼 수 없고 희나리성으로 주장합니다.
토종성의 희나리가 아니라 잡종성의 희나리.....어쨌든 대물 축하합니다.
전국산하에 심심계곡에 어찌 유입되지않았다 보십니까?( 나라에서 방류했는디....)
토종붕어가 맞습니다.
혹부리붕어지요. 근데 위의 사진을 볼때 희나리라고 오해받기 좋게되어 있네요.
배에 붉게 피멍이들어 있는것이 마치 떡붕어나 희나리붕어에서 많이 볼수있는 증상이죠.
일종의 화상을 입은것거죠.
하지만 위의 사진속의 붕어를 보면 이건 살림망에서 보관상태가 불량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요즘 많이들 쓰죠. 일명 거머리망이라고 경북권의 대물꾼들이 주로 많이쓰죠.
붕어 상처가 나지 않게 하기위해서........
만약 위의 사진속붕어를 낚은분이 거머리망살림망을 사용하여 보관하고 하였다면 이런 오해를 안받아도 되었겠죠^^
암튼 축하합니다.
혹부리 4짜 입니다 축하 드립니다.
일반 4짜보다 혹부리4짜가 훨신 귀합니다
저는 경기 북부에 살아서 청평 의암 소양댐 낚시를 자주 갑니다
특히 의암땜 봄철 4월 5월에 혹부리 4짜를 만나기위해 노력하지만
점점 개채수가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낚타가 사막에서 오래 버틸수있는 이유가 등에있는 혹때문이라는 사실처럼
혹부리 붕어도 머리위에 혹에 지방을 저장해서 만일의 사태에 적응하기 위한 생존전략 이란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읍니다.
저도 제가 자주가는 곳에서 35cm잡아서 월척에 사진도 올렸고,
궁금해서 일요낚시 이창수 사장님과 몇몇 분에게 문의를 했는데 토종붕어가 맞다고 하시더군요.
축하합니다.
축하드려용 ^ .^
4짜추카드립니다.
대형 대물 붕어들은 미끈히 빠진넘도있지만
혹부리들도 많이 세상 구경을 하는것 같았습니다
안동댐 낚시 시즌이 되면 거의 시즌이 끝날때 까지 댐 낚시를 즐겨하는 편인데 가끔 4짜 희나리와 토종 월척을 낚아서 가지고 오는데 이때 붕어를 관찰해 보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희나리붕어는 붉은 피같은 것이 비늘, 배 부분에 (위 사진의 붕어 모습과 동일함) 전제 적으로 불긋불긋 했으며
토종붕어는 한번도 그런적이 없었습니다.
4짜 추카합니다.
쩝....마냥 부러울 따름입니다.
k114님말씀에 (혹부리붕어는 붉은 피같은 것이 비늘, 배 부분에 (위 사진의 붕어 모습과 동일함) 전제 적으로 불긋불긋 했으며)
동감합니다.
어째든 4짜니 감축드립니다.
이땅에 반 강제적으로 건너와 이땅의 물먹고 힘들게 정착하여 뿌린 후손들도 부어로 봐주어야~~~~~~~
무튼 축하의 박수만 드립니다.
비늘이 거칠게 보이고 뒷지느러미가 많이 상한것을 보면 거의 희나리에 가까운데...
거기에 붉은 기가 도는것을 희나리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미끼는 무엇을 썼는지 궁금합니다.
떡밥이거나 글루텐 계열 아닌가요?
혹 동물성 미끼에 올라왔다면...?생각을 많이 해봐야될것 같군요.
암튼 축하드립니다.
.
전 토종붕어로 알고 있습니다.....
탑정........혹부리를 본적이 없엇는데 어떻게 유입되엇는지 모르겟지만 분명코 토종입니다.
일반 토종에 비해 체구가 대단합니다.
턱거리만되도 4짜급과 맞먹는 빵을 지녓지요.
혹부리의 특징이라면 매끈하게 빠진 지느러미와는 다르게 갈가리 찢어져있고 꼬리가 시작하는 부위가 두껍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붉은 색을 띠는데 제가 보기엔 처음 잡앗을때는 그렇지 않앗을거라 생각합니다.
상처를 입어 붉을빛을 띤다면 몰라도 혹부리.....토종의 누런빛은 없고 거무틱틱한 거친 비닐도 특징에 하나입니다.
아마도 금강에서 낚시를 즐겨하시는 분이나 그곳 낚시점을 운영하시는 분께서라면 쉽사리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본 혹부리대물.......축하합니다.
배스나 블루길 때문에 잔씨알은 나오지않고 나오면 대물이지요
5짜도 나온답니다(소문만)
현지꾼들은 대물급 혹부리로 손맛잘보고있지요
논산에 낚시밸리로 문의해보세요
현지꾼들은 낚시대 한대만으로 잘하더구만요
fs 낚시 방송보세요 실화입니다
강화나 남양만등 서해안 쪽에서 가끔 보이는 어깨 붕어네요..
같은 크기라도 일반 토종에비해 무게가 엄청납니다..
4짜 혹부리하신분 축하 드립니다.
토종붕어에 한표 던집니다^^*
희나리도 토종이죠
같은 토종이지만 혹부리 붕어에 한표 던집니다
이 근처엔 희나리 없습니다.
저 정도면 빵이 장난이 아닐텐데 대단했겠습니다.
제가 저번에 금천수로에서 낚은 32만 돼도 한손으로 잡기 버거웠는데...
한때는 토종을 두 종류(계곡형)로 선별하였지만 이시점에 와서 논하는게....
저는 토종의 개념이 식은지라 오래라서 오해마시구요.
해서 짜장과 여럿종료를 같이 공유해야 할 그럴 실정이라면 경상도 일부였던 토종희나리는 구별안되므로
떡붕어를 제외한 유사계통을 희나리로 봅니다.
견해로는 여기서 논하는(?) 토종이라 절대 볼 수 없고 희나리성으로 주장합니다.
토종성의 희나리가 아니라 잡종성의 희나리.....어쨌든 대물 축하합니다.
전국산하에 심심계곡에 어찌 유입되지않았다 보십니까?( 나라에서 방류했는디....)
혹부리붕어.....일명 몸짱붕어(헬스붕어)
운동 엄청열씸히 했군요..
갑바가 대단한데요...
혹부리붕어지요. 근데 위의 사진을 볼때 희나리라고 오해받기 좋게되어 있네요.
배에 붉게 피멍이들어 있는것이 마치 떡붕어나 희나리붕어에서 많이 볼수있는 증상이죠.
일종의 화상을 입은것거죠.
하지만 위의 사진속의 붕어를 보면 이건 살림망에서 보관상태가 불량하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요즘 많이들 쓰죠. 일명 거머리망이라고 경북권의 대물꾼들이 주로 많이쓰죠.
붕어 상처가 나지 않게 하기위해서........
만약 위의 사진속붕어를 낚은분이 거머리망살림망을 사용하여 보관하고 하였다면 이런 오해를 안받아도 되었겠죠^^
암튼 축하합니다.
희나리도 토종이긴 하지만 위 혹부리 붕어와는 외형적으로도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축하드립니다..
탑정지엔 희나리 떡 없읍니다
4짜 축하 드립니다...
설령 토종이 아니더라도
토종으로 우깁니다.
축하합니다.
다만, 입모양이 조금 걸리네요.^^
칠팔년전만해도 떡이 없기로 소문 난 곳인데...언제부터인지 떡이 많아 졋더군요.
배스도 많아 졋고요. 아직은 참붕어가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점점 외래종이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이놈이 탑정리라하면 고향이 그곳에서 코앞이기에 말씀 드려봅니다.
출조하시는분들도 참고하세요.
여튼 혹부리붕어.........대단하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
축하합니다
힘이 장사인 헬스붕어이지요.
엄청 힘좋은 녀석입니다.
이건 월척종자라고 빵이 엄청나지요.
땡기실 때 엄청 손맛 좋으셨겠습니다.
저도 토종에 한표 던집니다.
토종에 한표요~~~
일반 4짜보다 혹부리4짜가 훨신 귀합니다
저는 경기 북부에 살아서 청평 의암 소양댐 낚시를 자주 갑니다
특히 의암땜 봄철 4월 5월에 혹부리 4짜를 만나기위해 노력하지만
점점 개채수가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낚타가 사막에서 오래 버틸수있는 이유가 등에있는 혹때문이라는 사실처럼
혹부리 붕어도 머리위에 혹에 지방을 저장해서 만일의 사태에 적응하기 위한 생존전략 이란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