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절기에는 붕어가 입을 많이 벌리지 않습니다 고로 채비도 중요하지만 바늘도 중요하고 미끼운용및 미끼 크기도 중요합니다
입을 조금 벌린다는것은 입질이 많이 예민하다라고 말할수 있는데요 고부력찌는 입수되어 바닥안착까지 빠르게 진행되고 예민한 찌
맞춤을 하셨다고 하더라도 5~6호봉돌 먹는게 이물감을 덜 느끼겠죠 조사님이 써노신 글을 보면 9호봉돌 예민한 찌맞춤을 하신게 맞
지만 저라면 5~6호 먹는 봉돌을 9호와같이 채비를 갖추어 낚시를 할것입니다
동절기 방한용품 단단히 준비하셔서 안전하게 출조했다 안전하게 귀가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본인도 허접한초보조사임을 아룁니다... 여러가지 여건상 귀차니즘의 관계로 찌맞춤은 한번 하면 거의 안합니다...
저의 찌맞춤은 4~7호 봉돌을 주로 사용하구요 원줄에 핀도래 연결후 핀도래에 봉돌이 달리는 채비입니다....
바늘은 안달고 찌의 1마디가 보일때까지 봉돌을 깍습니다..... 그 이후에 핀도래에 쇠링을 달아서 캐미꽂이 아래까지 내려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현장에따라 조금 가볍다 싶으면 쇠링 추가 또는 쇠링제거 이런식으로 약간의 부력만 변형만해가며 낚시합니다...
제가 배운바대로 라면 바늘을 빼고 영점을 맞추는건 봉돌이 바닥에 닿는 바닥낚시는 바늘의 무게는 조과에 차이가 없다고 배웠습니다....
정답은 아니니 참고하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즐낚하시길...
찌통에서보단 무거운 부력이 나오드라구요 영점 찌맞춤보다 약간가벼운 하마디정도 찌통 물수평에서 올라오게 합니다
동절기 저의낚시 방법이니 참고만 하시고 다른분에게 페스합니다.
입을 조금 벌린다는것은 입질이 많이 예민하다라고 말할수 있는데요 고부력찌는 입수되어 바닥안착까지 빠르게 진행되고 예민한 찌
맞춤을 하셨다고 하더라도 5~6호봉돌 먹는게 이물감을 덜 느끼겠죠 조사님이 써노신 글을 보면 9호봉돌 예민한 찌맞춤을 하신게 맞
지만 저라면 5~6호 먹는 봉돌을 9호와같이 채비를 갖추어 낚시를 할것입니다
동절기 방한용품 단단히 준비하셔서 안전하게 출조했다 안전하게 귀가하시길 바랍니다
저의 찌맞춤은 4~7호 봉돌을 주로 사용하구요 원줄에 핀도래 연결후 핀도래에 봉돌이 달리는 채비입니다....
바늘은 안달고 찌의 1마디가 보일때까지 봉돌을 깍습니다..... 그 이후에 핀도래에 쇠링을 달아서 캐미꽂이 아래까지 내려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현장에따라 조금 가볍다 싶으면 쇠링 추가 또는 쇠링제거 이런식으로 약간의 부력만 변형만해가며 낚시합니다...
제가 배운바대로 라면 바늘을 빼고 영점을 맞추는건 봉돌이 바닥에 닿는 바닥낚시는 바늘의 무게는 조과에 차이가 없다고 배웠습니다....
정답은 아니니 참고하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즐낚하시길...
저두 풍덩체비인데.
요즘하도들 예민하게쓰셔서 요번겨울엔 한5~6호쯤먹는대물찌을 교체을할까하고질문을드렸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ㅎ
찌는 사용하던것 그대로....사용합니다